신흥 증시, 9~10월엔 국면 전환 가능성...테이퍼링으로 자금유출 위험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연내 채권매입 프로그램 축소(테이퍼링)를 예고하면서, 상대적으로 펀더멘털과 경기 회복세가 선진국보다 더딘 신흥국 금융시장이 하반기에 어떤 모습을 보일 지 주목된다.

더욱이 신흥국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률도 한참 떨어진다.

신흥국 경제는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경제 재봉쇄'의 충격에 직면했고, 미국의 테이퍼링 우려에 대한 선제적 자금이탈도 겹쳐, 최근 주가 및 통화가치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 신흥국인 중국은 상대적으로 상황이 나은 편이다.

상반기 중 중국의 주가지수는 0.1% 하락했고, 위안화 통화상황지수도 반락했다.

하지만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에는 상반기와 달리, 중국의 통화.재정 측면의 우호적 정책 환경이 기대된다"면서 "9~10월 경에는 경제 지표의 '순환적 반등'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 중국 위안화/사진=연합뉴스


그는 3분기 신흥국 통화가치의 전반적인 반등도 예상했다.

그간 상대적 약세가 이어졌던 신흥국 증시에도, '변화의 바람'이 조심스럽게 예측된다.

델타 변이 확산 이후 선진국 평균 주가지수 수익률은 4.6%였고 미국은 7.9%에 달한 반면, 신흥국은 마이너스(-) 5.4%였으며 특히 브라질은 -8.8%를 기록했었다.

박석중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른 감이 있지만, 신흥국 증시에 '역발상적 접근'이 가능할지 여부를 시험해 볼 시점에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또 "코로나19 이후의 강세장에서 선진과 신흥 증시로의 스타일 변화가 반복됐고, 노출된 악재는 상당 부분 자산가격에 반영됐다"면서 "9~10월 국면 전환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경기에 민감하고 하이테크 비중이 높은 한국과 대만, 중국에 대한 '비중 확대'를 제시했다.

채권시장의 경우, 중국 등 주요 신흥국들은 양호한 외화유동성과 경상수지를 기록 중이어서, 미 테이퍼링 이슈로 글로벌 자금이동이 발생한다 해도, 지난 2013~2014년 같은 충격 없이 견조한 모습을 보일 전망이다.

하지만 러시아, 브라질, 터키 등 선제적 금리인상을 단행한 일부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 취약 신흥국들은 아직 매우 낮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어, 테이퍼링에 따른 자금유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인플레이션 부담이 계속되면서 급격한 금리상승 등 금융시장 충격 가능성도 상존한다.

그렇게 내다보면서도 신환종 NH증권 연구원은 "다만, 2013~2014년보다 그 정도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자산가격 급락 시, 투자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 브라질, 터키 등은 올해 초부터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상해왔지만, 내부적인 정치적 이슈, 정치경제 개혁의 부진 및 퇴조, 지정학적 갈등의 심화 등이 미국 테이퍼링과 결부되면서, 금융시장의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자산가격 급락 시에도 투자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