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정부가 조선분야 인력양성 및 고부가가치·친환경 선박 등 선박시장 패러다임 전환을 골자로 한 ‘K-조선 재도약 전략’을 수립했다.
먼저 정부는 최근 우리나라가 조선 수주가 세계 발주량 회복을 상회하는 실적을 내고 있음에도, 생산력이 이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2022년까지 8000명의 조선 인력을 양성해 생산성을 30% 향상시키겠다고 밝혔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에 따르면, 세계 수주 현황은 지난 2016년 글로벌 수주절벽(1402만CGT) 이후 지난해 2264만CGT에서 올해 7월 기준 3021만CGT로 지난해 대비 33% 증가하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보다 25%포인트 높은 58%의 증가율을 나타내면서, 조선분야에서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에 정부는 긴급 직업훈련 지원을 현재 경남에서 울산·부산·목포 등을로 확대하고, 퇴직자 재고용 기업에 채용장려금을 지급하며, 퇴직 기술인력은 중소조선사 설계·엔지니어링 서비스 지원인력으로 활용하는 등 인력유지 및 복귀지원 계획을 세웠다.
또한 생산·기술 인력양성 교육사업을 확대하고, 신규 채용인력 및 채용예정자 인센티브 신설 확대한다.
먼저 122억원을 투입해 2660명의 생산기술 인력양성을 추진하고, 이에 더해 9억6000만원을 투자해 천연액화가스(LNG)설계기술 인력을 양성한다.
이와 동시에 산업부는 신규채용자 훈련수당을 신설하고 2개월간 월 100만원씩을 지원하며, 고용노동부는 채용예정자 훈련수당을 확대해, 기존 월 40만원 지원을 100만원으로 늘린다.
이외에도 도장분야 외국인근로자 전문취업 비자(E-7)를 신설해, 외국인근로자 도입규모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이를 통해 신규채용 인력풀을 확대시키겠다는 복안이다.
또 정부는 친환경·자율운항 선박 분야의 과감한 기술혁신 투자와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규범 마련 주도로, 미래 선박시장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
|
|
▲ 현대글로벌서비스와 KSS해운이 함께 친환경 선박으로 개조하고 있는 ‘가스 스타(Gas Star’)호./사진=현대글로벌서비스 제공 |
산업부는 해양수산부와 함께 내년부터 오는 2031년까지 총 2540억원을 투입해 친환경선박전주기 혁신기술개발사업 및 1603억원을 투자해 2025년까지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LNG 선박의 핵심기자재 국산화·고도화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내년까지 LNG벙커링 실증을 위한 전용선박을 2척 건조하고, 2024년까지 울산 등에 육상 LNG벙커링 터미널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정부는 중소조선소 및 기자재업계 수주역량 강화 및 수요기반 확대와 금융·수출·마케팅·물류 전반에 걸친 스마트 공동물류 플랫폼 구축을 통해, 조선 산업생태계 경쟁력을 강화시키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2030년까지 전체 국가 관공선 467척의 83%인 388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중소조선소의 안정적 매출 창출(2조 4000억 원 예상)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세계에서 발주되고 있는 선박 중에 고부가가치·친환경 선박 비중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기준으로 각각 48%, 34%를 차지했다”면서 “하지만 우리는 고부가가치 선박 63%, 친환경 선박이 66%로 양적·질적으로 세계 1등 조선 강국을 시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현시점에서의 고용상황은 과거 수주 영향으로, 인력 미스매치가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있다”면서 “기존 숙련 인력의 고용유지와 신규인력을 충원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 실장은 “생산기술인력 양성과 관련해서는 올해 1890명이 지원했고, 추가경정예산으로 600명이 추가됐는데, 내년에는 이보다 더 큰 규모의 예산을 통해 인력양성을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소경제 이행에 따라, 수소선박의 필요성이 더 커졌다”면서 친환경 선박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사업 추진 의지를 피력했다.
또한 주 실장은 “2025년까지 충돌 사고방지 및 최적 항로 확보가 가능한 자율운항선박 상용화 목표를 갖고 있다”면서도 “현재 기술수준보다는 자율운항선박이 가능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기술은 규범 및 제도적 뒷받침이 되면 최초 운항도 가능한 상황인데, 어떤 국가가 주도해서 국제규범을 만드는 것이냐가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외국인노동자에 관련해 주 실장은 “외국인노동자 쿼터에 대해 아직 일부 고민이 있다”면서 “현재까지는 수요가 많지 않아 쿼터가 소진되지 않은 상태로,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서 개선해 나갈 준비를 하고 있는 단계”라고 답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