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채권 발행확대 예상...리스크 높아져 프로젝트 별 신중 검토 필요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최근 미국 상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의 일환으로, 연방정부 차원의 1조 10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법안이 통과됐다.

최종 확정되면, 내년부터 본격적인 투자가 진행될 예정인데, 신규 투자 예산 여러 항목 중 도로.교량이 1500억 달러 수준으로 가장 많다.

투자재원은 법인세 인상과 가상화폐 과세, 주파수 경매 수익금 등이 제시되고 있는데, 연방 및 주 정부의 재정 부담을 감안할 때, 상당 부분이 민간에서의 자금 조달로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 미국 의회/사진=미 의회 홈페이지


이에 따라 인프라 개별 프로젝트 및 운영 회사, 인프라 펀드 등의 채권발행 확대가 예상된다.

특히 지난 4월 로저 위커 상원의원이 발의한 법안이 법제화될 경우, 미국 주 또는 지방 정부의 인프라 과세 채권 발행이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인프라 채권 투자 리스크도 과거보다 높아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우선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는, 인프라 시설 이용률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인프라는 공공재 성격이 강한 특성 상 정부의 정책과 규제 변화, 정치적 이슈와 노출이 많고, 금리상승 압력과 최근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이슈도 인프라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한광열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인프라 채권의 부도율은 일반 회사채 대비 낮았고, 신용등급 변동도 작았지만, 향후 인프라 개발과 채권 발행 증가는 부도율도 높일 것"이라며 "국채 금리 상승도 차환 리스크 고조와 프로젝트 수익성을 낮추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인프라 채권의 투자 성과가 회사채보다 상대적으로 양호하겠지만, 과거 대비 리스크 요인이 많아진 만큼, 개별 프로젝트 별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