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각국 중앙은행들의 디지털화폐 도입 논의가 잇따라 활발해지고,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가장 앞서가고 있는 나라는 중국으로, 인민은행은 실제 도입을 목표로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화폐 시범사업을 현재 진행 중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도 제롬 파월 의장이 지난달 온라인 미팅에서, 디지털화폐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특히 파월 의장은 오는 10월 19일(이하 현지시간) 열리는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에서, ‘국경 간 디지털화폐의 유용성·위험성과 관련한 정책적 함의’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
|
|
|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사진=연합뉴스 |
유로존(유로화 사용지역)은 시민들이 상업은행이 아닌 유럽중앙은행(ECB)에 디지털화폐를 맡기는, '디지털지갑'의 형태로 도입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터키 중앙은행도 15일 성명에서 "디지털화폐의 잠재적 이익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기 위해, '디지털 리라 협력 플랫폼'을 구성했다"고 밝혔고, 우리나라도 하반기부터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실험을 추진키로 했다.
디지털화폐 논의 활성화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기술 등장이 촉진한 측면이 있으나, 그보다는 다가오고 있는 '현금 없는 경제'에 대한 대응 차원이라고 평가된다.
이명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금 수요가 급격히 축소돼 실물 명목화폐가 사라질 상황이 되면, 중앙은행의 공신력을 바탕으로 한 편리하고 안전한 새로운 디지털 지급결제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 가상자산이나 현금과 달리, 완전한 익명성 보장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한편에서는 디지털화폐가 사이버공격, '디지털런'(digital run) 등을 초래, 잠재적 금융불안 요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 연구위원은 "디지털화폐의 국경간 유통이 가능해질 경우, 급격한 자금이동 같은 국가간 전이효과와 자금세탁, 불법자금 거래 같은 부작용도 동반될 우려가 있다"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국제적 공조 노력도 동반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