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정부가 8년 만에 전기요금을 올렸으나, 추가 인상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연료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두바이유는 지난달 20일 배럴당 65.37달러에서 지난 23일 74.11달러로 높아졌다. 이를 포함한 국제유가는 배럴당 75달러로, 10달러 이상 올랐다. 이는 미국 원유재고(4억1400만배럴)가 3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으나, 석유수출국기구 및 산유국 연대체(OPEC+)의 생산량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한 까닭으로 풀이된다.
유연탄값도 지난달 20일 톤당 127달러에서 지난 17일 137.53달러로 상승했다. 중국을 중심으로 전기차·데이터센터 확대 등으로 늘어난 전력 수요를 석탄화력발전이 충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외 연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자들의 탈석탄 지원사격으로 신규 광산 프로젝트가 차질을 빚는 것도 이같은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
|
|
|
▲ 한전 나주 본사/사진=한국전력공사 |
한전과 발전사들의 수익성이 떨어지는 것도 요금 인상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다. 한국전력공사가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2021~2025년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는 올해 한전이 3조8492억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내용이 수록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2조7891억원) 보다 1조원 넘게 악화된 수치로, 누적부채(142조1354억원)도 지난해 대비 9조원 넘게 가중될 전망이다.
한전 영업이익을 지난해 대비 대폭 떨어뜨린 원인으로는 에너지전환 정책이 꼽힌다. 액화천연가스(LNG)복합 등 가스발전과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 확대로 전력구입 비용 부담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전 전력통계속보에 따르면 LNG복합 구입량은 지난해 1~7월 7만7131GWh에서 올해 9만8109GWh, 구입액도 8조5809억원에서 10조2269억원으로 늘어났다. 재생에너지의 경우 같은 기간 각각 1만501GWh에서 1만3485GWh, 9459억원에서 1조2241억원으로 많아졌다.
다만, 재생에너지의 경우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 관련 비용이 빠진 수치로, 올 1~7월 정산금 2조260억원을 더하면 이미 3조원을 넘은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의 사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RPS 상한선을 올해 9%에서 내년 10%로 높이고, 향후 이를 25%로 늘리는 것도 전기요금 인상을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재생에너지 가격이 떨어지면 부담이 줄어들겠지만, 올 7월 기준 구입단가를 보면 LNG복합과 재생에너지는 각각 121.31원·106.94원으로, 원자력(64.38원)과 유연탄(100.01원) 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
|
|
▲ 미국 LA 유니버셜스튜디오 내 설치된 태양광 패널(왼쪽)·댈러스 DFW 공항 인근 풍력발전기/사진=미디어펜 |
업계는 그간 사실상 보류됐던 연료비 연동제가 가동되기 시작했고, 한전이 공기업이지만 상장사라는 점을 들어 요금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한전도 4분기 연료비 단가가 +10.8원으로 올랐지만, 분기별 조정폭 등 소비자 보호장치 때문에 3원 인상으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문경원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요금 인상이) 4분기 영업이익을 3600억원 가량 개선시키겠으나, 원자재값 상승 감안시 향후 2분기 동안 요금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익 가시성에 대한 신뢰성을 일정 부분 회복하기 위해서는 연료비 조정단가 상한(+5.0원)에 이르기까지 인상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는 모습이 확인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올해부터 도입된 연료비 연동제는 국제유가·액화천연가스(LNG)·석탄 수입가격 변동폭을 반영해 3개월 단위로 요금을 높이거나 낮추는 것으로, 올 4분기 전기요금의 경우 6~8월 연료비를 기준으로 책정됐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