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제조업 생산 줄어…거리두기에 숙박·음식점업 '직격타'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확산 영향이 본격화, 8월 생산과 소비, 투자가 석 달 만에 '트리플' 감소했다.

특히 코로나19 거리두기 강화로 직격탄을 맞은 서비스업 생산은 석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고, 제조업 생산도 나란히 감소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8월 전(全)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1.8(2015년=100)로 전월보다 0.2% 줄어들었다.

4월(-1.3%)과 5월(-0.2%) 연속 감소했던 전산업생산은 6월(1.6%) 반등했다가, 7월(-0.6%)에 이어 8월에 두 달 째 마이너스(-)였다.    

광공업 생산과 서비스업 생산이 모두 고꾸라졌다.

   
▲ 산업단지/사진=연합뉴스


광공업은 0.7% 감소해, 5월(-1.3%) 이후 3개월 만에 생산이 줄었다.

광공업 생산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제조업 생산은 전기장비(-5.1%), 금속가공(-5.0%) 등에서 줄어 0.4% 감소했고, 반도체(3.5%)와 자동차(3.3%) 등은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다.

서비스업 생산은 0.6% 줄면서 역시 5월(-0.4%) 이후 3개월 만에 감소했는데, 특히 거리두기에 따른 사적 모임·영업 제한 등으로, 대면 비중이 큰 숙박·음식점업(-5.0%), 도소매(-0.9%) 등의 생산이 모두 줄었다.

반면 공공행정은 백신 접종 추진 관련 지출이 늘면서 5.2% 증가했고, 건설업도 3월(0.4%) 이후 5개월 만에 1.6% 많아졌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118.5(2015년=100)로 0.8% 줄었고, 7월(-0.5%)에 이어 두 달 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여름 휴가 특수가 사라진 나들이·음식료품 등의 판매가 줄면서,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0%) 판매가 감소했고, 부품 수급 차질에 따른 출고 지연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내구재(-0.1%) 판매도 적어졌다.

슈퍼마켓 및 잡화점(-6.0%), 대형마트(-4.2%)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전문소매점(6.7%), 무점포소매(6.3%), 백화점(14.8%),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3.0%), 면세점(4.1%), 편의점(1.4%)에서는 판매가 증가했다.

설비투자도 5.1% 감소하며 마이너스로 반전, 생산과 소비 및 투자가 트리플 감소를 보인 것은 지난 5월 이후 3개월 만이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과 동일한 101.3이었고,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하락한 102.4로 집계됐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7월 14개월 만에 하락 전환, 8월에도 2개월째 내렸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생산과 지출이 전월보다 약화, 7월에 이어 경기 회복세가 주춤하는 모습"이라며 "코로나19로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회복세가 둔화한 측면이 있고, 지난달 지표가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말했다.

어 심의관은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2개월 연속 하락한 것과 관련해 "코로나19 4차 확산 등 하방요인이 없지 않지만 수출 호조, 백신 접종 확대, 소비심리 반등, 정부의 지원정책 등 상방요인도 여전히 있기 때문에, 이런 흐름이 경기 전환점 신호로 이어질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