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전 세계 식품시스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에 따라, 식품 공급 체인에 큰 충격을 받았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봉쇄'와 '이동 제한'으로 농업노동 등 생산 요소 투입과 가공, 운송.물류 분야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했다.
또 경기 침체에 따른 소득 감소에다, 외식 대신 가정 내 소비, 비대면 경제 활성화 등의 사회변화로, 소비자 수요도 전례 없이 빠른 변화가 진행 중이다.
이런 가운데, 선진국들은 식량 공급망 측면에서 놀라운 견고함과 회복력을 보여줬다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코로나19와 식품시스템' 보고서를 통해 평가했다.
|
|
|
▲ 북한의 한 세계식량계획(WFP) 지원 공장에서 직원들이 식량을 쌓고 있다./사진=WFP 제공 |
특히 '농업시장정보시스템' 등을 활용한 '투명성'이 시장 안정, 정책 조정에 큰 역할을 했다고 봤다.
시장 상황과 정책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개, 공유함으로써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감소하고, 올바른 정책 의사 결정이 가능해졌다는 것.
아울러 코로나19 대응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실행 시, 장기적으로 식품시스템의 3대 과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선 식량안보와 영양을 강조, 빈곤과 분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또 종사자 생계 보호를 촉구하면서, 식량 생산자의 기본 생산능력 손실을 막는 단기적 지원 제공과, 식품시스템의 장기적 회복력 강화를 위한 정책 전환을 주문했다.
아울러 식품시스템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완화, 또는 제한하기 위한 효율성 향상과 농업정책 개혁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코로나19 피해 생산자 구제 시 친환경 농업으로 전환토록 유도하고, 기후변화 대응 등 장기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공공 및 민간의 투자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것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