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 수신 자금 몰리자…역마진 우려 커져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압박이 제2금융권까지 옮겨오자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저축은행 예금 금리가 속속 인하되고 있다. 대출 영업이 막힌 상황에서 높은 수신 금리에 고객이 몰리자 역마진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 표=미디어펜


13일 저축은행중앙회 공시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예금 평균 금리는 12개월 기준 2.25%, 24개월 기준 2.28%를 기록했다. 지난 1일 12개월 기준 2.26%, 24개월 기준 2.29%를 기록했던 것에 비해 소폭 줄어든 수치다.  

각 사별로 살펴보면 SBI저축은행은 연 2.5%였던 정기예금 금리를 최근 연 2.2%로 내렸다. 

OK저축은행도 지난달 28일부터 OK안심정기예금의 금리를 연 2.6%에서 연 2.4%로, OK정기예금의 금리를 연 2.5%에서 연 2.3%로 각각 0.2%포인트 인하했다.

우리금융저축은행은 지난달 29일부로 비대면 예금상품의 금리를 인하했다. e-정기예금과 비대면정기예금, e-회전정기예금 등은 가입기간 12개월 미만의 경우 2.1%에서 2.0%로 떨어졌고, 12개월 이상의 경우 2.62%에서 2.42%로 인하됐다.

유진저축은행도 지난 8일부터 정기예금의 금리를 0.1%포인트씩 인하했다. 정기예금의 비대면 금리는 1개월 기준 1.3%로, 3개월 1.4%로, 6개월 1.5%로, 12개월 2.35%로, 회전정기예금은 2.4%로 금리를 낮췄다.

저축은행의 예금금리 인하 배경엔 역마진 우려가 있다.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압박에 각 저축은행들이 신규 대출을 자제하거나 대출 심사 문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자 수신 금리를 조절을 통해 예대율 관리에 나선 것이다.

예대율은 예수금 대비 대출금 비율을 의미하는데, 통상 대형저축은행의 경우 예대율을 100% 안팎에서 관리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높은 금리를 통해 수신 잔액이 늘어난 상황에 대출 규제 압박이 지속되면 예대율에 비상등이 켜질 우려가 크다"며 "대출 규제 강화에 따라 수신 금리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