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2012년까지 와이파이존 8만개로 확대
2010-11-29 16:51:20 |
5천만 누구나 100Mbps 고품질의 서비스 이용 가능케
LG유플러스(부회장 이상철/ www.lguplus.com)가 5천만 국민 누구나 쓸 수 있는 100Mbps 무선시대를 세계 최초로 열었다.
LG유플러스 이상철 부회장은 29일 서울 LG광화문 빌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PC로 세계 최대 규모의 와이파이망을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U+zone(유플러스존)’을 공개했다.
와이파이망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 ‘U+zone’은 100Mbps의 빠르고 안정적인 유선망에 연결된 100만개의 와이파이 AP와 1만 6천개의 와이파이존을 원격으로 실시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U+zone 관리시스템’으로 구축된 개방형 네트워크이다.
특히 4세대 이동통신인 LTE 도입 이전에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오는 2012년까지 와이파이 AP를 250만개로 늘리고, 와이파이존도 올해 1만 6천개에서 이보다 5배 늘어난 8만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로써 LG유플러스는 그동안의 네트워크 열세를 일거에 만회하고 경쟁사를 압도하는 국내 최대, 최고 속도의 무선망을 갖게 됐으며, 5천만 국민들은 통신사 구분없이 기존 3G망과는 차별되는 100Mbps 고품질의 무선 서비스를 마음껏 누릴 수 있게 됐다.
이날 이상철 부회장은 “5천만 국민이 통신사나 스마트폰 종류에 상관없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디지털기기를 유선망 수준의 고품질 서비스와 부담없는 요금으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이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IT강국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U+zone은 기존 와이파이망의 Pain Point인 커버리지, 품질, 속도, 보안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창조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라며, “지금까지 한번도 가져보지 못한 새로운 네트워크 U+zone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탄생되고 탈통신으로 가는 새로운 길을 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커버리지, 품질, 보안 등에서 경쟁사 압도하는 최대, 최고 속도의 무선망 구축
이처럼 세계 최대 규모의 U+zone을 구축한 것은 2013년까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보급대수가 3,300만대로 확대되고 이에 따른 무선 데이터 트래픽도 올해 8만 테라바이트(Terabyte)에서 2013년까지 15배 수준인 115만 테라바이트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존과는 전혀 다른 개념의 새로운 네트워크가 필요하게 된 데 있다.
즉, 기존 3G망이나 내년 하반기부터 구축될 LTE 도입만으로는 새로 늘어나는 데이터 수요를 소화하는데 한계에 봉착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 LG유플러스는 경쟁사 대비 커버리지, 품질, 속도 측면에서 월등한 와이파이 인프라를 고객의 사용 패턴에 따라 획기적으로 재구성해 폭증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 ‘U+zone’을 탄생시킨 것이다.
‘U+zone’은 경쟁사의 xDSL이나 와이브로 기반의 와이파이 AP와 비교할 때 최대 20배까지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구현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는 100Mbps급 인터넷이 전국의 모든 와이파이망을 지원하고 있어 가능한 것이다.
LG유플러스는 4세대 이동통신인 LTE 도입 이전에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U+zone’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100만개의 와이파이 AP를 내년까지 180만개로 확대하고 2012년까지는 250만개로 늘리기로 했다.
또 와이파이존은 금융권, 대형 유통업체, 영화관 등 현재 5,000여 개를 구축했으며, 올해 안에 유통, 쇼핑, 외식, 교육, 금융 등의 분야의 제휴를 통해 1만 6천개의 와이파이존을 설치하고, 내년에는 5만개를, 2012년까지는 8만개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 U+ 인터넷 가입자와 OZ 가입자 무료, 타사 가입자는 내년 3월 유료 개방
LG유플러스는 우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이용하는 U+ 인터넷 가입자와 OZ 가입자에게 U+zone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타사 가입자에게는 내년 3월부터 유료로 제공해 고객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요금은 추후 확정할 예정이다.
U+ 인터넷 가입자의 경우 타사 스마트폰 고객이라 하더라도 U+zone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며, 제휴사와 공동으로 구축한 와이파이존은 통신사와 관계없이 해당 제휴사의 고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기로 했다.
U+zone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사용자 인증과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할 수 있는 CM(Connection Manager)을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설치해야 한다. 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마켓, OZ스토어 등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CM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통해 U+zone에 접속하기 위한 자동 접속 프로그램이다.
■‘U+ 070 모바일’과 ‘U+zone’을 하나로 묶은 결합상품 추진
LG유플러스는 최근 출시한 타사의 스마트폰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인터넷전화 앱인 ‘U+ 070 모바일’을 U+zone과 묶어 와이파이 환경에서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결합상품을 출시해 ‘U+ 070 모바일’ 가입자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 3월부터는 아이폰이나 갤럭시S 등 타사 스마트폰 가입자가 ‘U+ 070 모바일’에 가입할 때 부여받은 ID와 패스워드 그대로 U+zone을 이용할 수 있고, 반대로 U+zone 가입자의 ID와 패스워드로 ‘U+ 070 모바일’을 이용할 수 있는 결합상품을 내놓고 요금할인 혜택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U+ 070 모바일’과 U+zone의 결합상품이 출시되면 U+ 070 가입자간 무료 및 저렴한 통화가 광범위한 U+zone의 커버리지와 결합돼 통화시간에 대한 구애를 받지 않고 통화요금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돼 결합상품에 대한 선호도 상승과 가입자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상위급 보안 수준인 ‘WPA2’ 적용 등 강력한 3중 보안체계 도입
LG유플러스는 와이파이의 보안도 한층 강화했다. 고객 보안을 위해 스마트폰과 AP 사이의 무선 구간에는 접속할 때마다 암호화된 키(Key) 값을 자동으로 바꿔주는 최상위급 암호화 기술인 WPA2(Wi-Fi Protected Access Version 2)를 적용한 데 이어, 스마트폰과 인증서버간의 유무선 구간에는 802.1x 사용자 인증 체계를 도입했다.
또 와이파이 AP를 보유한 고객과 U+zone 이용자의 트래픽을 엄격하게 분리 운영하는 등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인증한 3중 보안 체계를 통해 U+zone 서비스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보안성을 갖췄다.
아울러 U+zone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와이파이 AP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의 망상태를 유지하고 장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으며, 동시에 장애 대응 및 와이파이 AP의 유지 보수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담조직과 고객센터를 운영키로 했다.
■스마트 비즈니스 등 탈통신 사업 영역으로 ’U+ Zone 서비스’ 확장
LG유플러스는 기존에 U+zone과 사업 연관이 깊은 U+ 070, U+ TV, OZ 서비스, U+ Box, 모바일 오피스 등의 서비스 활성화는 물론 U+zone을 더욱 고도화 해 스마트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탈통신 사업 영역으로 확장시켜 나가기로 했다.
가령 U+zone 및 SNS(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다양한 분야의 제휴사와 연계한 ‘타킷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한다. 할인점, 백화점, 영화관, 학교 등 특정 장소에 위치한 고객에게 U+zone을 활용해 광고, 맞춤형 쿠폰, 장소 특화 편의 서비스 등 고객 성향에 맞는 최적의 정보와 프로모션 등 스마트 비즈니스를 제공해 나갈 방침이다.
또 제휴 파트너들과 연계해 고객이 원하는 실시간 뉴스, 스포츠 및 드라마, 음악, 주문형 비디오 등의 각종 콘텐츠와 은행 결제, 주식거래 등의 솔루션을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금융, 유통, 미디어 등의 응용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해 나감으로써 2012년까지 U+zone 이용자 1,200만명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 이상철 부회장은 “이제는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컨버전스 시대로 바뀌면서 기존에 전통적으로 묶여있던 콘텐츠-서비스-네트워크-고객이라는 고리가 분리되고 있다”며, “U+zone 서비스는 콘텐츠-서비스-네트워크-고객이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누구라도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 프레임이자 탈통신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