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수석 “달성된 성과만큼 축하하는 의미도 커” 일화 소개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1일 발표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시험발사와 관련한 대국민 메시지는 현장에서 문 대통령이 직접 수정한 것으로 이날 달성된 성과만큼 축하하는 연설문으로 탄생할 수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4일 페이스북에 올린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를 통해 세계 7번째로 자체 개발한 우주 발사체를 보유로 기록되는 누리호 시험발사에 대한 문 대통령의 연설문이 “자랑스럽습니다”로 시작될 수 있었던 과정을 소개했다.

누리호가 발사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문 대통령은 “비록 더미 위성을 궤도에 안착 시키지는 못했으나 1, 2단 연소와 분리, 페어링까지 다 성공했으니 과장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성취를 최대한 축하하는 연설문으로 작성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박 수석은 “‘만약에 발사에 완전히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더 큰 격려와 응원이 필요해서 현장 참관을 결정했다’는 평소 대통령의 말씀처럼 연설문 곳곳엔 이루지 못한 성과보다 달성한 목표를 강조하는 문장들로 채워질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박 수석은 또 “당초 참모회의에선 실패할 경우 대통령이 생방송 연설없이 연구원 격려만하고 돌아오는 것으로 논의가 됐다”며 “그러나 대통령은 ‘실패할 경우에도 직접 생방송 연설을 할 것이고, 내용도 현재까지 우리가 확보한 기술의 축적과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도전과 의미를 담겠다’라는 지시를 내려보냈다”고 전했다.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1일 오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연구동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2)'의 발사를 참관하고 있다. 2021.10.21./사진=청와대

결국 문 대통령은 누리호 대국민 메시지를 통해 “위성 속도가 충분하지 못했지만 위성의 목표 고도를 성취했다. 발사체를 (1-2-3단 분리를 통해) 고도 700km까지 도달시킨 것은 대단한 성취”라고 강조할 수 있었다. 사실 발사체 1-2-3단의 완전체가 조립되어 우주로 발사되는 첫 발사체 비행시험이 세계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은 30%가 채 안 된다고 한다.

이후에도 문 대통령은 별도로 연구원들에게 일일이 격려 메시지를 발신하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도 “우리가 이룬 성취를 국민들께 잘 전달하고 연구진들의 사기를 북돋워 드리라”고 재차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대통령의 메시지 작성과 관련해 과기보좌관이 ‘위성모사체인 더미위성을 싣고’라는 문구를 빼자고 건의했던 일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과기보좌관은 “실제 위성도 아닌데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고, 발사체 연소시험 성공에 초점이 맞춰지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고 건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발사체를 쏜다고 하면 국민께서는 무엇을 위해 쏘는 것인지 궁금해하실 것이다. 누리호가 위성을 우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려드리기 위해서라도 더미 위성을 언급해야 한다”고 과기보좌관을 오히려 설득했다고 한다.

박 수석은 “오늘 ‘대통령 이야기’는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그저 있었던 일화를 소개만 하고 평가는 페친(페이스북 친구)께 맡겨드리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날의 성취는 오롯이 ‘항우연 연구자들’을 비롯한 우주산업 관계자들의 공로이기 때문”이라고 말해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