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빨라지면서, 연령·계층별 디지털 인프라 접근성에 따라 사회적 격차가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주희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 팀장은 4일 기획재정부가 개최한 제2차 미래전략포럼에서, '다양한 지표를 통해 살펴본 코로나19 이후 경제·사회 변화'를 주제로, 이렇게 밝혔다.
조 팀장은 과거 기업을 중심으로 진행돼 온 디지털 전환이 코로나19 이후 일상 속에서 본격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
|
▲ 기획재정부 청사/사진=기재부 제공 |
실제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지난 2017년 52조 9000억원에서 지난해 108조 3000억원으로 급증했고, 일 평균 간편결제 이용금액도 2016년 645억원에서 작년에는 4492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따라서 디지털 인프라 접근성과 문해율 차이 등에 따라, 계층 간 격차가 확대될 수 있다고 조 팀장은 지적했다.
일반 국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고령층은 68.6, 농어민은 77.3, 장애인은 81.3, 저소득층은 95.1로, 상대적 수준에서 차이가 난다는 것.
키오스크를 '매우 능숙' 혹은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답변한 사람의 비율은 10대와 20대, 30대에서는 95%를 상회했으나 40대 89.1%, 50대 76.3%, 60대 이상 66.1%로 고령층일수록 하락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또 고영선 KDI 선임연구위원은 '우리 경제 및 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향후 기술·자본집약도가 높은 좋은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 연구위원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등 기업의 규모화, 생산성이 높은 기업·산업으로의 일자리 이동, 교육·훈련을 통한 인적자본 확충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성호 경기대 교수는 '혁신성장 기조 복원을 위한 산업혁신 정책의 과제' 발표를 통해, 시장 친화 산업혁신 기반의 조성, 제조·서비스 연계의 산업구조 고도화, 산업혁신정책 거버넌스 재정립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기재부는 이날 포럼에서의 토론 내용을 제5기 중장기전략위원회의 향후 논의에 반영한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