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비용 견인' 인플레 부작용 고려해야"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이 마침내 자산매입프로그램 축소(테이퍼링)을 개시하면서, 통화정책 완화에 대한 '출구전략'을 본격 시작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에서, 이번 달부터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재도입한 양적완화 정책 기조의 변화를, 20개월 만에 공식화한 것이다.

다만, 아직 금리인상을 논의할 때는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사진=연합뉴스


제롬 파월 의장은 테이퍼링 결정 발표 직후 기자회견에서 "오늘 테이퍼링을 시작하기로 한 결정이 금리인상을 고려하고 있다는 직접적 신호는 아니다"라며 "금리 인상을 위해서는 별도의 한층 엄격한 조건이 만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공급망 차질이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고 물가상승 역시 마찬가지"라면서도 "다만 시기가 불확실하기는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2분기나 3분기에는 물가가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금리인상의 전제 조건으로 꼽히는 '최대 고용' 달성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내년 하반기 쯤 금리인상이 본격 논의될 것으로 전망한다.

연준 통화완화 출구전략의 3대 전제는 소비자물가상승률 2% 도달 및 이 상승률의 일정기간 유지, 고용 극대화지만, 이것들 말고도 고려해야 할 요인이 적지 않다.

파월도 최근 3가지 전제조건이 충족되더라도, 민주당과 공화당 간 연방정부 채무한도의 적용 유예 또는 인상 합의가 올해 회계연도가 마감되는 오는 9월말까지 이뤄지지 못할 경우, 출구전략 경로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현재 미 연방정부의 부채는 법정 한도인 약 22조 달러를 넘은 지 상당 기간이 지났고, 여야는 일단 9월 30일 임시지출 예산안을 통과시킨 후 12월 3일까지 채무한도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그런데 최근 조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민주당이 주요 보궐선거에서 패배하고 상원에서 다수당 지위를 내줌에 따라, 이 합의가 유지될 지 알 수 없게 됐다.

코로나19 재확산, 세계적인 '공급망 병목' 현상, 에너지 가격 상승, 반도체 등 부품 부족, 노동 수요 및 공급의 미스매칭 등이 성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야 할 필요성도 커졌다.

특히 최근 성장률이 둔화되고 물가 상승세가 확대, '스태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이광상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 견인' 인플레를 정확히 구분하고, 비용 견인 인플레의 경우 통화정책 긴축모드로만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거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