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건설·인프라뿐 아니라 미래 분야 협력기반 다지는 계기”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의 중동 3개국을 방문하기 위해 오는 15일 출국해 22일까지 6박8일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라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박 대변인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어 “중동지역은 우리의 최대 에너지 공급원이자 최대 해외 인프라 건설시장으로 우리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업들의 미래 기간산업 진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3개국은 우리나라의 중동 아랍권 주요 우방국으로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안정과 역내 평화와 안정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미래산업 발전을 위해 우리나라를 주요 파트너국으로 동반 성장을 희망하고 있는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의 이번 UAE 방문은 4년만에 다시 이뤄진 것으로 모하메드 알 나흐안 아랍에미리트연합 아부다비 왕세제와 모하메드 알막통 UAE 총리 겸 두바이 통치자의 초청에 따른 것이다. UAE는 한국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다. 

문 대통령은 16일 두바이에서 양국 경제인들이 참석하는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및 ‘2020 두바이엑스포 한국의 날 공식행사’에 참석한 뒤 UAE 총리와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이 자리는 ‘2020 두바이 엑스포’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우리의 기여는 물론 ‘2030 부산 엑스포’ 유치에 대한 우리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문 대통령은 17일 ‘아부다비 지속가능성 주간 개막식’ 및 ‘자이드 지속가능성 상 시상식’에 참석한 뒤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와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두 정상은 2018년 양국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격상 이후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1일 오후 G7정상회의 참석 차 출국하기 위해 서울공항에서 공군1호기에 올라 환송 인사들에게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2021.6.11./사진=청와대

문 대통령은 18~19일 사우디아라비아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의 초청으로 사우디를 공식 방문한다. 사우디는 중동 지역 우리의 최대 교역국이자 해외건설 누적 수주 1위국으로 금년 우리와 수교 60주년을 맞이하는 중요한 협력 대상 국가이다. 이 밖에 문 대통령은 모하메드 왕세자와의 회담, 양국 경제인들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포럼 참석, 걸프협력회의 사무총장 접견 등 일정을 이어간다.

마지막으로 문 대통령은 20~21일 압델 파타 아이시시 대통령의 초청으로 우리나라 대통령으로는 역대 두번째로 16년 만에 이집트를 공식 방문한다. 이집트는 우리나라와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이며 수에즈 운하를 보유한 국제 물류의 중심지이자 우리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거점국가이다. 

문 대통령은 20일 한-이집트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양국간 지속가능한 성장과 미래지향적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정상회담에 이어 양국간 양해각서 서명식과 아이시시 대통령이 주최하는 공식 오찬에 참석한다. 또한 양국 경제인들이 참석하는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친환경 미래산업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박 대변인은 “이번 문 대통령의 중동국가 방문은 2020년 코로나19 상황 등으로 순연됐던 중동지역 순방”이라면서 “탈석유 산업 다각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중동 주요 3개국 정상들과의 신뢰와 우애를 돈독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 국가들과 협력 저변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중동은 우리의 최대 에너지 수입원이자 최대 해외 인프라 건설 시장으로 에너지 공급망 안정과 우리 기업들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면서 “이번 순방을 통해 에너지, 건설, 인프라와 같은 전통적 협력 분야뿐 아니라 보건·의료, 과학기술, 해양수자원, 수소 협력, 기후환경 등 미래 유망 분야에서의 협력 기반을 공고히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변인은 “특히 2020 두바이 엑스포 계기 2030 부산 엑스포 유치와 COP33 유치 등 기후환경 문제 대응을 위한 우리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한반도와 중동지역의 평화 안정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