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효과·수출 호조에 7년 만의 최대 증가…30·40대 취업자는 감소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타격이 컸던 2020년에 대한 '기저효과'와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취업자가 7년 만에 가장 많이 늘었지만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코로나19 타격 업종의 취업자는 줄었다.

직원을 둔 자영업자, 30~40대 청년층도 감소하는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은 계속됐다.

12일 통계청 '2021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727만 3000명으로, 전년보다 36만 9000명 증가했다.

코로나19가 처음 닥친 2020년에는 연간 취업자가 21만 8000명 급감, 외환위기 때인 지난 1998년(-127만 6000명) 이후 22년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는데, 코로나19 2년차인 2021년에는 취업자가 증가로 돌아선 것이다.

   
▲ 여성 청년 구직자/사진=미디어펜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작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자 감소가 컸던 2020년의 기저효과와 비대면·디지털 전환 등 산업구조 변화, 수출 호조 등으로 고용 회복세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간 취업자 증가 폭은 2014년(59만 8000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컸으며, 정부가 제시한 2021년 고용 증가 목표치인 35만명도 웃돌았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전년대비 0.4%포인트 상승한 60.5%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업별·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증감 상황은 취약계층의 '고용 한파'가 계속되고 있다.

코로나19의 대표적 타격 업종인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4만 7000명 감소, 2020년(-15만 9000명)보다 감소 폭은 줄었지만 2년 연속 줄었다.

도소매업 취업자도 15만명이나 급감했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도 각각 2만 9000명과 5만 5000명 적어졌다.

제조업 취업자도 8000명 줄어들었다.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6만 5000명 줄어, 2019년 이후 3년 째 감소했고, 일용근로자도 9만 6000명 적어졌다.

반대로 상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는 각각 36만 6000명, 15만 2000명 늘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도 4만 7000명 많아졌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33만명)에서 취업자가 가장 많이 늘었고 20대(10만 5000명), 50대(6만 6000명)도 증가했지만, 30대와 40대는 각각 10만 7000명, 3만 5000명 감소했다.

실업자는 전년 대비 7만 1000명 감소한 103만 7000명이었고,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3%포인트 떨어진 3.7%였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77만명으로 3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2729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77만 3000명 증가, 2014년 2월 이후 7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11월에는 감소했던 숙박음식점업 취업자가 6만 6000명 증가했고,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5만 3000명 늘어 2018년 11월(1만 5000명) 이후 3년 여 만에 처음으로 증가했다.

12월 코로나19 확산세가 컸는데도 취업자가 증가한 것에 대해 공 국장은 "코로나19 관련 악재는 이미 반영됐다"며 "12월에는 보건복지업과 운수창고업의 회복세, 숙박음식업이 증가로 돌아선 부분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