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과거 전통 농업은 가축과 영농의 조화를 통한 생태계의 원활한 자원순환을 기초로 하는, 환경친화적 산업이었다.
그러나 생산성이 낮다는 이유로 현대 농업은 기술개발과 품종 개량, 비료와 농약 등 화약적 투입재 사용, 농후 사료 및 사료첨가제 투입 등으로 자연환경과 멀어져 왔다.
또 전통 농업에서 가축분뇨는 지력 유지와 증진에 유효한 수단이었지만, 수입사료에 의존하는 현재의 집약적 가축사육 체계는 분뇨 순환이용이 어렵다.
따라서 지금의 농축산업은 '고투입-고산출'의 집약적 생산시스템으로 생산성은 높아졌으나, 환경오염과 온실가스 배출을 초래하고 있다.
|
|
|
▲ 한우/사진=연합뉴스 |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농업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자원순환형 농업시스템 구축이 시대적 과제라고 지적한다.
특히 경종과 축산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스마트 경축농업'은 농업생태계의 선순환, 지속가능한 발전은 물론, 탄소중립 실천과 건전한 지역생태계 유지 등 농업의 다원적 기능 극대화가 기대된다.
정부와 농업계도 지난 2000년대 초반부터 퇴비 및 유기질비료 지원사업,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설치, 액비·퇴비 유통센터 실립, 가축분뇨 전자인계시스템 구축, 토양비료 시비처방서 발급 등 경축순환농업 추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 왔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기획, 추진 중인 '스마트팜 다부처 혁신기술개발사업'의 연구과제로 '지역 및 국가 단위 경축순환농업' 모델 개발도 추진 중이다.
그럼에도,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게 중론이다.
우선 경종농가의 농경지 양분공급원으로서의 축분 퇴비 이용 확대를 위해, 농축산 부산물을 활용한 양분이 우선 공급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고, 토양 유기성 자원의 수급조절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양분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김창길 서울대학교 특임교수는 제언했다.
김 교수는 또 축분 퇴비화가 어려울 경우, 에너지로 이용해야 한다며, 가축분뇨 에너지사업자이 전력 판매,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온실가스 배출권 등 일정한 수익을 지역주민들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강조했다.
그는 "미래농업은 농축산부산물의 활용과 순환농업의 확립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과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농축산물 생산이 관건"이라며 "경축순환농업과 스마트농업은 차세대 농업의 핵심 과제"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