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긴장 고조 추가 행동 자제하고 외교의 길 나오길 촉구”
새 대북 제안, 친서 등 ‘형식’ 포함 의미있는 ‘내용’ 논의 관측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수혁 주 미국 한국대사가 “한미 양국은 현재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대사는 15일(현지시간) 워싱턴DC 특파원 간담회에서 지난 주말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올해 첫 한미 외교장관회담 및 한미일 외교장관회의가 열린 것을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사는 “한미 외교차관, 한미일 외교차관 통화도 수시로 이뤄지고 있다. 한미 간 교류 흐름이 각급에서 이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다”면서 “미국 측의 북한에 대한 대화 제의에 진전이 없다. 현재 북한의 반응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정부는 북한이 연초부터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을 연이어 발사하며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것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 북한이 긴장을 고조하는 추가적 행동 자제하고 외교의 길로 나오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지난 12일 호놀룰루에서 열린 한미 및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논의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들에게 한국정부가 미·일에 ‘대북 관여를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했다고 밝힌 바 있다.

   
▲ 이수혁 주미대사가 1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 임하고 있다. 2021.10.14./사진=연합뉴스

이와 관련해 북한에 제안하기 위한 서한, 통화, 특사 등 형식까지 논의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소통의 레벨과 현실감을 더 높이는 차원에서다. 내용도 이미 북한이 거부한 종전선언이나 쌀과 백신 지원이 아니라 현재 시점에서 의미 있는 방안이 필요해 보이는 만큼 관련 논의가 이뤄졌을지 주목된다. 

한편, 바이든 정부가 중국 견제 차원에서 추진해온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의 구체적인 내용이 조만간 공개될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의 IPEF 참여 여부를 두고 미 백악관은 IPEF 준비 상황을 한국정부에 사전 브리핑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정부는 이르면 3월 IPEF를 공식 출범한다는 목표로 각국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정부는 11일 공개한 중국 견제용 ‘인도·태평양전략 보고서’ 발표와 관련해서도 전략 마련 과정에서 한국과 사전에 내용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올해 상반기 일본에서 열리는 쿼드(Quad)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한국 방문을 검토하는 것에 대해 한미 외교당국이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이 성사된다 해도 5월 취임하는 새로운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