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무기화' 추진, 각국 자원 민족주의 자극...수입국 한국 대책 시급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원자재시장에서의 수요가 더욱 공고해진 가운데, 공급 측면에서의 영향력도 커지면서, 중국에 편중된 글로벌 수급 구조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

지난해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철광석, 천연가스 등 주요 원자재 수입 규모가 40% 이상 급증,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비중이 50%를 상회한다.

   
▲ 위안화/사진=연합뉴스


또 공급 측면에서도 마그네슘, 텅스텐 등 제조업에 활용되는 주요 30개 광물 중, 중국이 66%의 품목에서 최대 공급자로 부각됐다.

2위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은 9%, 3위 콩고 5%, 4위 미국은 3%의 광물만 1위 공급 국가다.

그 배경은 중국 정부가 '두 개의 시장과 두 개의 자원 전략'(해외 진출로 얻은 자원을 먼저 소모한 뒤, 국내 자원은 안보 차원에서 보호)의 일환으로 해외 자원 확보 노력을 이어간 데 이어, 최근 첨단 산업 자립 정책도 미-중 분쟁을 거치면서, 대폭 강화된 데 기인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정부는 십 수년 간 '일대일로' 등을 내세워 아프리카와 남미 등에 적극 진출, 작년 중 관련 해외직접투자 규모가 120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미국·대만과의 갈등으로 반도체 등 기술산업의 위탁환경이 악화되고,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도 지역화되면서, 첨단 원자재 확보 필요성이 높아진 것도 한 몫 했다.

향후 중국이 '자원 무기화'를 추진하고, 그 과정에서 각국의 '자원 민족주의'를 자극하면서, 원자재를 거의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도 대책이 시급하다.

김기봉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중국의 만성적 에너지 부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탈 탄소화 정책까지 가세하면서, 니켈 등 신규로 소요되는 원자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라며 "기업 대형화와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특히 열세인 반도체 대응을 위해 희토류 등 여타 광물 공급을 제한하고, 가격결정력도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또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자원 국수주의' 및 '진영 갈등'을 초래하는 현상이 뚜렷하다"면서 "향후 자원 관련 분쟁이 지정학적 리스크로 전이되는 현상이 빈번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