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외면하던 디스커버리측 장하성 주중대사 표적되자 입장문 내놔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환매중단 4년차를 맞은 디스커버리펀드의 자산운용사인 디스커버리자산운용(디스커버리)이 세간의 의혹에 대해 "우리도 피해자"라는 입장문을 내놓았다. 이를 두고 피해자 측이 "친형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피해자들이 지난 2020년부터 디스커버리 측과 만남을 요구했음에도 묵살했다는 후문이다. 

장하원 디스커버리 대표의 친형인 장하성 주중대사가 최근 이 펀드 가입자로 알려져 뭇매를 맞자 디스커버리가 급히 진화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가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최근 입장문을 반박하고 나섰다./사진=미디어펜


23일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대책위)는 논평을 통해 "디스커버리와 장하원 대표의 입장문을 읽어 보고 나서, 오히려 더 많은 의혹을 갖게 됐다"며 "지금까지 철저하게 외면하더니 이제 와서 명확하지 않은 근거로 자신을 믿으라는 입장문에 당황스러울 따름이다"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지난 2020년 12월부터 장 대표와의 간담회를 요청했지만, 현재까지 디스커버리로부터 마땅한 연락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환매중단 결정 이후 뚜렷한 입장을 표명치 않던 디스커버리가 금융위원회의 제재안이 나오자 급작스럽게 입장문을 내놨다는 점에서 사실상 피해자를 우롱하는 것 아니냐는 평가다. 

금융위는 지난 16일 정례회의에서 제재심을 개최해 디스커버리 측에 기관 업무 일부정지 3월, 과태료 5000만원, 과징금 1500만원, 임원 직무정지 3월 등의 처분을 내렸다. 

금융위 제재심 직후 디스커버리는 입장문을 통해 "디스커버리는 미국에서 발생한 다이렉트렌딩인베스트먼트(DLI) 사태의 피해자"라고 밝혔다. DLI는 디스커버리가 투자한 펀드의 미국 현지 운용사다. 

이어 "2년 넘게 조사를 벌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및 검찰이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DLI로부터 사기를 당한 피해자라는 점을 고발장 및 공소장에서 명확히 하고 있다"며 "이는 내부자 고발을 통해 밝혀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 대표의 형인 장하성 주중대사나 김상조 전 공정거래위원장 등에게 환매 특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는 "특정 투자자들에 대한 특혜 등은 있을 수가 없고 있지 않았다"며 "언론에 거명되는 특정인들은 투자 환매를 한 사실이 없고, 역시 다른 투자자들과 동일하게 손실을 본 피해자들"이라고 강조했다. 

피해자 측은 디스커버리의 입장문 배포 목적이 사실상 특정 투자자로 지명된 친형 등을 적극 방어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 환매중단 조치 후 4년 간 묵묵부답이던 디스커버리 측이 급작스럽게 적극 방어하는 게 사실상 "난데없다"는 평가다. 

대책위는 "기업은행과 운용사들이 복잡하기 이를데 없는 전문투자형 사모펀드를 판매하면서 펀드의 투자구조와 위험성을 철저하게 검증하지 않고 판매에만 급급했다"며 "최종적으로 피해자들에게 '투자자 자기책임'이라는 이유로 피해배상을 축소하고,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적반하장일 뿐이다"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기업은행과 장하원 대표가 국민과 언론이 보는 앞에서 3자 대면을 통해 진실을 밝혀 줄 것을 제안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특정인에 대한 특혜 의혹이 없다는 주장은 허위이고, 근거 없는 언론 보도라는 지적은 터무니 없는 협박에 불과할 따름이다"고 압박했다.

한편 디스커버리펀드 사태는 2019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운용하던 펀드가 미국 현지 자산운용사의 법정관리로 환매가 연기되면서 대규모 투자자 피해가 발생한 사건이다. 기은은 이 펀드의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상품과 부동산담보부채권펀드를 판매했고, 하나은행은 글로벌채권펀드를 판매했다. 

사태 발발 후 은행과 피해자 간 일부 보상이 이뤄졌지만, 대다수는 여전히 배상비율을 두고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 대책위에 따르면, 전체 펀드 판매액 3612억원 중 환매중단액은 2562억원이고, 미해결잔액은 기은 약 450억원, IBK투자증권 112억원, 하나은행 130억원 등이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