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의 공약과 관련된 신성장산업, 에너지, 건설 등 업종 수혜 전망
대외 경기 영향력 큰 수출 경제 특성상 증시의 향방 결국 경기에 달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제20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에 시장의 관심이 모아진다. 

증권가에서는 대선 후보의 공약과 관련된 업종의 수혜가 예상된다면서도, 증시의 향방은 결국 경기가 좌우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제20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국내 증시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관심이 모아진다. 사진은 10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에 마련된 상황실에서 대국민 메시지 발표에 앞서 꽃다발을 든 채 인사를 하는 윤 당선인의 모습.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시는 이날 새 정부 탄생 기대감 및 국제 유가 하락, 미국 등 글로벌 증시의 훈풍으로 상승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8.46포인트(1.47%) 상승한 2660.86으로, 첫 거래를 시작했다. 

오전 10시 40분 기준 코스피는 장 초반보다 상승폭을 확대해 2676.35를 기록 중이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07억원, 1568억원어치씩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개인은 1778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선 모습이다. 

전장 대비 14.91p(1.71%) 상승한 885.05로 출발한 코스닥 역시 상승 폭을 키워 나가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은 20.29p(2.33%) 상승한 890.43을 나타내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7억원, 1217억원어치를 순매수했고, 개인은 1268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그간 약세를 면치 못했던 국내 대표 기술성장주 네이버와 카카오가 장 초반 급등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플랫폼 기업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윤 당선인은 공정경제 분야에서 플랫폼 기업 규제에 대해 불공정 행위 규제, 소비자 권익 보호 강화를 약속하고 ‘필요 시 최소 규제’를 원칙으로 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건설주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오전 10시 51분 기준 GS건설,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 삼성물산, DL이엔씨, 대우건설 등 건설 대표주의 평균 상승률은 5.61%에 달한다. 

건설 업종은 윤 후보 당선 시 수혜를 입을 수 있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꼽혀왔다. 윤 후보는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임기 내 250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인상, 재건축 규제 완화, 양도소득세·재산세 부담 완화 등 부동산 거래 활성화 공약도 내놓았다. 

원자력발전주 역시 강세다. 두산중공업, 보성파워텍, 우리기술 등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탈원전 기조를 유지해온 문재인 정부와 달리, 윤 당선인은 원자력 발전 비중을 30%로 유지하고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전 개발 지원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증권가에서는 이처럼 윤 후보의 대선 공약들과 관련한 신성장산업, 에너지, 건설·건자재, 금융 관련 업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증시의 향방은 결국 경기에 달렸다는 분석이다.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증시는 정권 말 정책 공백 이후 불확실성 해소 관점에서, 일부 탄력을 얻을 수 있다”면서도 “추세는 결국 경기에 달려있다”고 설명했다. 

대선 이후 증시 흐름은 경기의 방향을 따라갔고 정치 이벤트가 반전의 포인트가 되지 못했다는 게, 최 연구원의 설명이다.

그러면서도 “새로운 정부의 정책 방향이 섹터별로 주는 영향은 다를 수 있다”면서 “신성장 산업, 에너지, 건설·건자재, 금융 업종에 있어 공약 영향력이 클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도 “대외 경기의 영향력이 큰 수출 경제의 특성상, 임기 초 코스피 수익률이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패턴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다만 기존 정부와 정책 기조가 달라지는 분야에 대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정권 1~2년차 경기부양적 재정정책에 따른 내수소비 수혜는 기대해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단기에는 이전 정부와 정책 기조가 달라지는 분야(내수소비·건설·원전) 분야 수혜가 예상된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경제 발전방향과 연관되는 IT, 모빌리티, 바이오헬스, 이동통신, 우주항공, 로봇, 블록체인, 메타버스 분야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