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에도, 2월 취업자 수가 두달째 10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2월 코로나19 여파로 고용이 부진했던 것의 기저효과, '착시 효과'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40만 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03만 7000명 늘어, 1월(113만 5000명)보다 증가 폭은 다소 줄었으나, 두 달 연속 100만명대 증가세다.
취업자 증가는 12개월째다.
2월 기준으로는 지난 2000년(136만 2000명) 이후 22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
|
|
▲ 여성구직자/사진=미디어펜 |
여기에는 비교 대상인 작년 2월 취업자 수(-47만 3000명)가 대폭 감소했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되는데, 작년 감소 폭이 컸던 만큼 올해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나는 기저효과다.
다만 지난해 3월부터는 취업자 수가 증가세로 전환됐던 만큼, 코로나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를 제거한 실제 고용 실적은 올해 3월부터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2월 취업자는 전월 대비로도 41만 7000명 늘었다.
1년 전과 비교해 60세 이상(45만 1000명), 50대(27만 2000명), 20대(21만 9000명), 40대(3만 7000명), 30대(1만 5000명) 등 모든 연령대에서 늘었다.
코로나19 타격이 특히 컸던 숙박음식점업(5만 5000명)을 비롯,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5만 4000명), 운수·창고업(13만 5000명), 정보통신업(12만 8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증가했다.
다만 도소매업(-4만 7000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3만 2000명), 금융보험업(-4000명)에서는 감소했다.
상용 근로자(76만 7000명), 임시 근로자(34만 2000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7만 5000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3만 9000명)가 일제히 늘었으나, 일용근로자(-14만 9000명), 무급 가족 종사자(-3만 8000명)는 줄었다.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97만 3000명 늘었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도 16만명 증가했으며,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38.7시간으로 1년 전과 같은 수치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6%로 작년 같은 달보다 2.0%포인트 올랐고, 2월 기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2년 7월 이후 역대 최고치다.
실업자 수는 95만 4000명으로 1년 전보다 39만 9000명 감소했으며, 실업률은 3.4%로 1.5%포인트 하락하며, 집계 기준을 변경한 1999년 6월 이후 2월 기준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85만 7000명으로 41만 2000명 줄어, 12개월 연속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를 활동상태별로 보면 '재학·수강 등'에서 22만 6000명이 줄었고 '가사'에서도 13만 2000명이 감소했으며, '쉬었음' 인구는 10만 3000명 줄었다.
취업준비자는 80만 5000명으로 4만 8000명 감소했고, 구직 단념자는 51만 3000명으로 23만 9000명 줄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월 고용은 비대면·디지털 전환과 수출 호조, 지난해 기저효과 등으로 취업자는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해 고용 회복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