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우현 기자]한국 기업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하락하는 추세인 가운데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수출 전략품목 발굴이 절실하다는 진단이 나온다.
한국은 지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 연속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기술‧장비 수출을 제한하면서 2위로 떨어졌다. 한국의 자리는 대만이 차지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 2015년 기준 중국의 20대 수입국 중 한국의 점유율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16일 밝혔다.
전경련이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한국, 대만,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의 2012~2016년 대비 2017~2021년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들 국가 중 한국의 점유율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
|
|
▲ 삼성전자 중국 시안 반도체 공장 전경. /사진=삼성전자 제공 |
한국의 점유율은 2012~2016년 9.8%에서 2017~2021년 8.8%로 1.0%p 하락했고, 현재 중국과 패권경쟁 중인 미국도 1.0%p 줄었다. 반면, 글로벌 공급망의 허브로 변모하고 있는 아세안 6개국과 대만의 점유율은 각각 2.5%p, 0.8%p 늘었다.
대만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늘어난 것은 중국의 대만산 반도체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지난 2020년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업체 SMIC를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자국 기업들의 반도체 기술과 장비 수출을 사실상 제한했다. 반도체 기술과 장비가 중국 군대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국이 중국에 수출하는 최대 품목인 반도체를 제외할 경우,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2~2016년 8.8%에서 2017~2021년 6.8%로 2.0%p 감소했다. 반면, 아세안 6개국 점유율은 2.8%p로 늘었다.
최근 5년(2017~2021년) 중국의 부품․소재 수입은 ‘중국제조 2025’로 상징되는 중국의 부품․소재 자급화 등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과 중국 토종기업의 성장으로 2012년~2016년 대비 6.6% 줄었다.
2018년 기준으로 승용차, 의약품, 화장품, 유아용 식료품, 플라스틱제품 등 중국의 10대 수입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2012~2016년 5.4%에서 2017~2021년 4.2%로 1.2%p 감소했다.
이 기간 중국의 화장품 프랑스 수입이 2012~2016년 대비 2017~2021년 약 4배 증가함에 따라 G5, 아세안6 중 프랑스만 유일하게 시장점유율이 2.3%p 상승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중국의 수입구조가 고부가가치 중간재, 소비재 제품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만큼,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회복을 위해 기업은 반도체 이외에 고부가가치 철강재․정밀화학제품 등 고부가 중국 전략 수출품목을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는 2015년 12월 발효한 ‘한-중FTA’ 상품 양허 개정 등 정책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