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주기자] 노사정위원회에서 노총 내부서 합의안을 거부함으로써 사실상 합의가 무산되었다.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3일 “밤 12시 넘어서까지 각 대표자들이 계속적으로 논의했지만 오늘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노사정 합의의 사실상 무산을 의미한다.

한편,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이 연출되고 있어 교육계의 화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방대가 지방을 떠나고 있는 것이다. 지방대의 살길을 찾아 수도권으로 온다는 얘기인데, 이는 학교별로 줄어드는 학령 인구와 대학구조개혁을 피하기 위해서다.

이미 지방대에는 학교별로 과별로 30~40%의 수도권 거주 학생이 통학을 하는 경우도 많다. 지금은 서울 유수의 대학들이 지방캠퍼스를 건립하기 보다는 지방 국립대 및 거점대 등 각지의 지방 유수 대학들이 수도권캠퍼스를 추진하는 시대다.

   
▲ 오늘의사회뉴스...노총의 노사정위원회 합의안 거부, 수도권으로 짐싸는 지방대...세월호 희생자 지원 등이 손꼽힌다. 사진은 연금개혁을 위해 투쟁하고 있는 공무원노조 일동. 기사와 관련이 없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정부가 3일 세월호 사고 희생자 가구에 월 110만여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직장을 다니는 피해자의 경우 치유휴직을 허용하기로 했으며, 월 최대 120만원의 휴직수당을 정부가 지원한다.

정부가 마련한, 세월호 희생자 가구에 대한 지원은 긴급복지, 심리상담, 정신질환검사, 치유휴직, 고용유지, 교육비, 아이돌봄, 등을 주요 골자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