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피해 양봉 농가에 융자·약품 지원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겨울철에 폐사한 꿀벌이 78억 마리에 달한다고, 7일 밝혔다.

하지만 벌꿀 수급과 작물 꽃가루받이(수분) 피해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평년 이맘때 전국에서 사육되는 양봉용 꿀벌은 255만 봉군(1봉군은 약 2억 마리) 가량인데, 이번에는 다수 꿀벌이 폐사, 현재 사육 마릿수는 이보다 6% 적은 240만 봉군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폐사한 봉군의 벌꿀 생산 역량을 인근의 다른 봉군이 대체, 벌꿀 공급에는 큰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예상했다.

   
▲ LS그룹 연수원인 경기도 안성시 LS미래원 야외 정원에 설치된 토종꿀벌 양봉 시설 /사진=LS 제공


꿀벌이 153만 봉군으로 가장 적었던 지난 2011년에도, 벌꿀이 평년(1만 4000t)보다 더 많은 2만t(톤)가량 생산됐다.

또 벼, 밀, 보리 등 수요가 큰 곡물은 '가루받이' 곤충이 없어도 자가 수정할 수 있으며, 사과와 배 등은 '꽃가루 분사기'로 인공 수정할 수 있으므로, 꿀벌 피해가 작물 재배에 미치는 영향도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식품부는 다만, 피해를 입은 양봉 농가를 위해, 농가 당 1000만원 한도의 농축산경영자금을 연 2.5%의 고정 금리로 융자 지원할 방침이다.

또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꿀벌의 '천적'인 꿀벌응애류, 꿀벌낭충봉아부패병, 꿀벌노제마병 방제용 약품을 신속히 제공한다.

양봉업계에서 요청한 벌 구매자금은 지방자치단체가 마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아울러 꿀벌이 폐사하는 명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 농촌진흥청, 농림축산검역본부, 지자체가 매월 현장을 점검하기로 했다.

박범수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관계 기관과 협력해 피해 농가를 적극 지원하고, 재발 방지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