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공표 목표...통계청장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통계청이 초고령 시대 노인복지정책 수립을 뒷받침하기 위해, 2023년 공표를 목표로 '포괄적 연금통계' 개발을 추진한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를 확정했다.

포괄적 연금통계는 기초연금, 국민연금, 직역연금, 주택연금 등 각 부처의 모든 연금데이터가 연계돼, 국민 전체의 연금 가입·수급 현황과 사각지대를 파악할 수 있다.

   
▲ 통계청이 있는 정부대전청사/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해 김부겸 국무총리는 "연금통계 개발을 통해 고령층 연금 수준은 물론 성·연령별, 지역별, 경제활동별 다양한 통계지표와 연계,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중복 및 사각지대 등 입체적 정보를 체계적으로 국민께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연금통계가 국민이 모두 걱정 없는 노후를 누릴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통계청을 중심으로 모든 부처가 관심을 두고 적극적으로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류근관 통계청장은 "여러 기관의 다양한 연금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협의 과정이 오래 걸렸으나, 연금통계 개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포괄적 연금통계 개발은 통계등록부를 이용, 개인정보 유출 없이 각 기관에 산재해 있는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허브-스포크(Hub-Spokes) 모형 적용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