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1건 영국서 유입…XM, BA.2보다 감염증가율 10% 우위 추정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국내에서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XL'에 이어 'XE', 'XM' 감염자도 최초 확인됐다.

   
▲ 국내에서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XL'에 이어 'XE', 'XM' 감염자도 최초 확인됐다./사진=미디어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9일 재조합 변이 XE 2건, XM 1건이 확인됨에 따라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국내 XE 감염 2건 중 1건은 영국으로부터 유입돼 지난달 27일 확진 판정을 받은 사례다. 나머지 1건은 지난달 30일 국내에서 확진됐다. XM 감염 사례는 지난달 27일 변이 감염이 확인됐다.

XE 변이는 기존 오미크론 변이인 'BA.1'과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BA.2'의 유전자가 재조합된 변이다. 초기 분석결과에 따르면 BA.2보다 감염 증가 속도가 약 10% 빠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 1월 이후 영국·미국·아일랜드 등 4개국에서 489건이 확인됐다. 이후 대만·태국·일본 등 아시아권에서도 감염 사례가 나오고 있다. 영국보건안전청은 지난 8일 자국에서만 1179건의 XE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XM 변이는 오미크론 BA.1.1과 BA.2의 유전자가 재조합됐다. 기존 바이러스와 차이를 보이는 특성 변화는 보고된 바 없다. WHO에 따르면 독일·덴마크·오스트리아 등 8개국에서 전날 기준 32건이 확인됐다.

당국은 "XE, XM 등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는 WHO에서 (넓은 범위의) 오미크론으로 분류하고 있어 특성 변화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전파력, 중증도 등 분석 자료가 없어 계속해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