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국 주도 '반중 연대' IPEF 참여 긍정 검토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각 국 경제 여건에 따라 통화정책 정상화의 폭과 속도를 조율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해 "우크라이나 전쟁의 파급 경로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국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전쟁의 상흔이 남지 않도록 그린·디지털 전환 등 중장기 성장동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된 만큼, 각국의 경기나 물가 상황에 맞춰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취지로 보인다.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기재부 제공


국제금융 체제와 관련해서는 저소득 국가의 채무 재조정 절차를 명확히 하는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아울러 국제금융 체제 워킹그룹 공동 의장국으로서 저소득국가 대출 여력을 늘리기 위한 자본적정성체계 검토(CAF)가 실효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당부하고, 국가 간 자본이동관리조치 활용에 대한 국제 기준의 정합성을 높여야 한다고 요청했다.

우크라 전쟁 발발 이후 처음 열린 이번 G20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전쟁 등 경제 위기 대응 방안이 주로 논의됐다.

G20 회원국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이 여전히 세계 경제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이 경제 회복을 더욱 제약하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식량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인플레이션 압력과 글로벌 공급망 약화가 이어지며, 저소득 국가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해지고 있다는 것.

또 미래에 닥칠 수 있는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을 위해 새로운 재원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을 표명하고, 세계은행(WB) 내에 FIF(Financial Intermediary Fund) 기금을 설치하는 방안을 지지했다.

회의에서는 미국·영국·캐나다·유럽연합(EU) 등 일부 서방 국가 재무장관들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항의하며, 러시아 재무장관의 발언 도중 퇴장했지만 일본과 이탈리아, 독일 등 나머지 국가들은 동참하지 않았고, 홍 부총리도 자리를 지켰다.

홍 부총리는 이날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특히 그는 이 자리에서,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에 한국도 참여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이 제안한 IPEF는 디지털·공급망·청정에너지 등 신(新)통상 의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인도-태평양 지역의 포괄적 경제 협력 구상체로, 반중 연대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후 홍 부총리는 나디아 칼비뇨 스페인 수석부총리 겸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의장을 만나, 우크라이나 전쟁의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하는 글로벌 공조를 당부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