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고용노동부 장관 인사청문회서 공정·안전 노동시장 구현, 노사상생 등 약속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이정식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장관 후보자가 노사 상생문화 구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소통’과 ‘균형’을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4일 국회에서 개최된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을 통해 “노동자와 사측을 비롯해 국민과 국회와 소통하며 노동기본권을 보장하고, 국민 모두에게 일할 기회가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주어진 역할이라고 생각한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5월 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청문위원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사진


이 후보자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에서 20여 년간 노동계현장을 경험했으며, 고용부 산하기관인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을 역임하기도 해, 노동계와 재계 및 정계 간 중재자 역할을 수행 해낼지 주목되고 있다.

이 후보자는 “20년 넘게 현장에서 활동해온 만큼, 일자리가 국민들에게 얼마나 중요하고 절박한 과제인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며 “그러나,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노동시장 이중구조, 양극화, 불공정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거대한 변화의 파도는 우리 노동시장과 국민들의 일자리에도 크나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어제 새 정부는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국민께 약속한 만큼, 공정한 가치에 기반해 국민 모두가 일할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 후보자는 △공정하고 안전한 노동시장 구현 △노사 상생의 노동시장 구축 △쉽게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뒷받침 등, 고용부장관으로 임명된다면 추진할 역점 정책과제를 설명했다. 

이외에도 이 후보자는 육아 걱정 없이 일할 수 있도록 ‘일·가정 양립 지원 강화’, 청년·중장년의 일자리와 고용안정을 도모와 함께 기업의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도입’ 등을 언급했다. 

아울러 이 후보자는 “노동환경은 급변하고 고용형태도 다양해지는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 경직적인 법·제도나 관행으로는 더이상 지속가능성이 없다”며 “노사 등 경제주체들과 지속적으로 대화하고 국민의 공감대를 얻어가는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자세로 균형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기존 고용노동시스템의 변화를 예고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