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치부 김규태 차장 |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청와대의 전면 개방과 용산 새 대통령실에서의 정부 출범이 불과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역사와의 단절이다 뭐다 말이 많지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언했던대로 '제왕적 대통령'에서 '일하는 대통령'으로 변모할 계기다.
문재인 대통령 개인으로서는 40%대 콘크리트 지지율을 유지했다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사태에 가장 큰 수혜를 입은 것이라는 비판을 부정하기 어렵다. 부동산 등 문정권의 실정이 거듭되자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정권 교체가 일어난 것도 사실이다.
탈원전과 북핵, 질 좋은 일자리 실종,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등 문 대통령이 야기한 폐해에 정권 교체 여론이 지난 반년간 50% 중반대를 상회하면서 결과적으로 집권 5년만에 다시 정권을 빼앗긴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이틀 뒤인 10일 당선인 딱지를 떼고 향후 5년간 대한민국의 군통수권자이자 대통령으로서 국정 운영을 책임진다.
문 대통령의 바통을 이어받는다지만 문정권 대부분의 중점 정책은 폐기되고 '공정과 상식의 회복'을 모토로 새 정책이 펼쳐질 전망이다.
물리적 공간으로서 청와대를 전면 개방하고 용산 대통령실에서 새 정부가 시작한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
바로 소통과 자유민주주의의 회복이다. 국민에게 말이 아니라 일의 결과로 보여주겠다는 실용주의의 기반이다.
|
|
|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좌측)과 문재인 대통령이 3월 28일 오후 회동을 위해 청와대 상춘재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
지난 한달간 대통령실 이전에 대해 대부분의 지역에서 반대해왔지만, 청와대 개방으로 인한 수혜를 직접적으로 입는 서울 지역에서는 찬성 여론이 오히려 높았다.
실제로 윤석열 당선인은 권위적인 대통령의 모습을 내려놓고 '국민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집무실 이전을 단행했다.
경호 패러다임도 획기적으로 바꿔, 경호원의 무장 모습을 보이지 않는 '열린 경호'를 도입해 대통령과 국민과의 분리 차단을 꾀하지 않는다. 공원 입구와 집무실 주변엔 금속탐지 기능 등을 탑재한 무인 AI 경호시스템을 가동해 특별한 검문 검색 없이 시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도록 한다.
새 집무실 우측과 남측 전면에는 용산공원이 조성된다.
주한 미군기지 반환과 함께 용산공원이 계획대로 조성되면, 용산 대통령 집무실을 중심으로 뉴욕의 센트럴파크와 같은 대규모 녹지공원이 생긴다.
공원을 찾는 시민들은 대통령 집무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집무실과 공원 사이에는 2.4m 높이의 철제 펜스만 친다. 미국 백악관의 펜스를 본땄다.
오는 9월 임시개방할 방침인 집무실 인근 부지의 규모는 50만㎡에 달하고, 집무실과 300m 거리의 헬기장은 잔디광장으로 탈바꿈한다. 잔디광장 하나만 해도 현 청와대 내 녹지원의 2배 규모다.
|
|
|
▲ 5월 1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집무실 이전이 예정되어 있는 서울 용산구 국방부 일대 전경. /사진=미디어펜=김상문 기자 |
윤 당선인은 새 대통령실 청사(구 국방부) 2층의 주집무실과 5층 보조집무실을 오가며 일한다. 대통령 전용 엘리베이터도 따로 두지 않는다. 2층은 대부분 대통령 업무공간으로 조성되며, 3층에는 5수석 대부분과 일부 비서관이 입주한다. 4층부터 10층까지는 비서실, 경호처, 민관합동위원회가 배치된다.
주집무실 바로 아래층인 1층에는 전체 기자실로 운영된다. 110~120여 석의 출입기자석, 자유석, 기자회견장이 마련된다. 기존 청와대 춘추관은 대통령 업무 공간과 동떨어져 있었다. 이와 달리 윤 당선인은 언론과의 직접 소통을 늘리고자 이같이 차별화하고 나섰다.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 윤 당선인이 청와대를 떠나 용산 청사로 집무실을 옮기기로 하면서 밝힌 결정적 이유다.
대민 소통과 일을 통해 성과를 내려는 의지는 다른데 있지 않다. 윤 당선인이 초심 그대로 끝까지 자신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