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방한 일정 동안 국내 기업 활약 돋보여
향후에도 '민간 외교' 역할 기대…기업 위상↑
[미디어펜=조우현 기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박 3일 일정으로 방한 중인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활약이 돋보이고 있다. 양국 정상이 만나는 자리에 기업 총수와 경제단체장이 대거 참여하면서 경제 협력 강화는 것은 물론 새 정부에서 기업의 역할이 기대될 것으로 보인다.

22일 정치권과 재계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지난 21일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주최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환영 만찬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한 기업 총수들과 경제 단체장들이 총출동했다.

이날 만찬에는 이 부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 정기선 HD 현대 사장과 류진 풍산 회장이 참석했다. 

   
▲ 취임 후 한국을 첫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안내를 받아 경기도 평택시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시찰 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제공

또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등 경제 6단체장도 함께했다.

양국 정상은 이날 정상회담에서도 첨단 반도체, 친환경 전기차용 배터리, 인공지능, 바이오기술, 바이오제조, 자율 로봇 등 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정상회담에 앞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지나 러만도 미국 상무장관 주재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는 한미 기업인들이 모여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디지털, 청정에너지 등 분야에서 한미 공급망 협력을 위한 실질적인 실천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국내에선 5대 그룹 회장과 김동관 사장, 백우석 OCI 회장, 최수연 네이버 사장 등 8개 기업이 참석했고, 미국에선 퀄컴의 크리스티아누 아몬 대표와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램리서치, GM 코리아, 블룸에너지, GE 코리아, 구글, 코닝 등 8개 기업 대표가 함께 했다.

앞서 방한 첫날인 20일에는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첫 공식 일정으로 삼성전자의 경기 평택공장을 찾아 국내 반도체의 위상을 확인한 바 있다.

윤석열 정부의 출범과 맞춰 기업의 활약이 돋보이면서, 향후에도 기업의 위상이 높아질 것이라는 게 재계의 관측이다. 이전 정부에서 ‘개혁’의 대상이었던 기업이 ‘경제 성장의 주역’이라는 제 위치를 찾아 경영 활동에 날개를 달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향후 대통령 순방에도 기업인들이 적극 참여하는 등 ‘민간 외교’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보인다.

재계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 중 하나가 ‘경제 안보’였던 만큼 기업인들의 활약이 돋보였다”며 “향후에도 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윤 대통령과 기업인들이 한 데 모여 즐겁게 일하는 모습이 자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