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최근 중국 정부가 성장세 둔화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경기부양책을 발표하고 나섰지만, 올해 성장률 목표(5.5%)를 달성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
|
|
▲ 자료=한국은행 제공. |
한국은행이 5일 발간한 '해외경제 포커스' 보고서에 실린 중국 봉쇄조치 현황 및 경제적 영향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을 4.4%로 제시했고, 아시아개발은행(ADB)는 5.0%를 제시했고, 노무라증권과 모건 스탠리는 각각 3.9%, 3.2% 수준으로 전망했다.
한은 역시 봉쇄조치 및 우크라이나 사태 등 하방요인을 고려해 2월 5.0%에서 0.7%포인트 감소한 4.3%로 하향 조정했다.
중국은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수 4월 중순 2만 명대를 돌파한 이후 이달 1일 기준 100명대로 하락했다. 상하이가 이달부터 일상 회복단계로 전환되는 등 주요 도시에 대한 봉쇄 조치가 완화됐으나 코로나 대응 관련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도시 봉쇄 등 강력한 제로코로나 정책의 영향으로 소비 및 수출입이 위축되면서 중국 성장세 둔화 흐름이 현저한 모습이다. 소매판매 증가율이 3월중 20개월 만에 –3.5%를 기록했으며, 4월 들어서는 –11.1%로 더욱 악화됐다.
4월 제조업 및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모두 2020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수출증가율도 전년 동기 대비 3.9%를 기록해 전월(14.7%) 대비 크게 줄었다. 부동산 부문 역시 규제 완화 조치에도 부진한 상황을 지속하고 있다. 4월 30대 도시 부동산판매율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54%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는 성장세 둔화 흐름을 대응하기 위해 실물 경제 지원을 위한 금융조치 및 내수 부양을 위한 재정 정책을 잇달아 발표했다. 이 같은 경기부양책은 성장 둔화 폭을 일부 완화시킬 전망이나, 올해 성장률 목표(5.5%)를 달성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중국 정치 상황 및 의료역량, 미중 갈등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제로코로나 정책은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돼 하방리스크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올해 10월 시진핑 주석의 3연인 여부가 결정될 중국공산당 대회가 예정돼 있어 코로나 관리를 통한 사회안정은 중국 지도부의 최우선 과제로 지목된다. 여기다 여타국 대비 부족한 중환자 병상 수 등을 고려하면 중국은 선진국처럼 위드코로나 정책을 시행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이다.
보고서는 "봉쇄"조치가 해제된다고 해도 생산·물류 등의 정상화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소비는 고용시장 악화 및 가계부채 증가 등을 고려할 때 더딘 회복세가 전망된다"고 밝혔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