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원자재 값 상승 원인
식품 가격 상승…전체 물가 상승에 영향 미처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밥상 물가가 높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지수는 109.19(2020년=100)로 1년 전보다 7.6% 올랐다. 이는 2012년 1월(7.9%) 이후 근 1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69개 품목의 가격이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국수(33.2%), 밀가루(26.0%), 식용유(22.7%) 등이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가곡식품 지수가 근 1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자료사진) /사진=미디어펜


더불어 소금은 1년 전보다 30.0%나 상승했다. 천일염 생산량 부족 등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두 자릿수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달에도 상승폭이 컸다.

10% 이상 오른 품목은 식초(21.5%), 부침가루(19.8%), 된장(18.7%), 시리얼(18.5%), 비스킷(18.5%), 간장(18.4%) 등 22개 품목이다.

반면 편의점 도시락(0.0%), 홍삼(0.0%), 고추장(-1.0%), 오징어채(-3.4%)는 하락하거나 보합세를 보였다.

가공식품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원인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촉발된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파악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은 "원자재 가격이 올라가면서 우리가 먹는 것은 가격이 모두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외식물가도 오름세다. 외식물가는 1년 전보다 7.4% 올랐다. 이는 1998년 3월(7.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체 39개 품목 중 김밥(9.7%), 라면(9.3%), 쇠고기(9.1%), 피자(9.1%), 짬뽕(8.9%) 등 31개 품목의 가격이 전체 소비자물가(5.4%)보다 많이 올랐다.

10% 이상 오른 품목은 갈비탕(12.2%), 치킨(10.9%), 생선회(10.7%), 자장면(10.4%) 등이다. 

농산물의 출하량 증가 등으로 오름세가 둔화되던 농축수산물도 지난달 4.2% 오르며 상승 폭을 키우고 있다.

특히 사료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축산물이 12.1% 상승했다. 수입 쇠고기(27.9%), 돼지고기(20.7%), 닭고기(16.1%) 등이 크게 올랐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전년 동월비 기준)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외식이 0.94%포인트로 4월(0.84%포인트)보다 커졌다.

가공식품(0.62%포인트→0.65%포인트)과 농축수산물(0.17%포인트→0.37%포인트)의 기여도도 4월보다 커지는 등 식품 가격의 오름세가 전체 물가 상승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세계 곡물과 육류 가격의 상승세가 유지됨에 따라 물가상승에 대한 부담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