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농진청, 기상청 등 내년부터 484억 투입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최근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월동 봉군 폐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이상기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여기에 세계 석학들이 오는 2035년엔 꿀벌이 완전히 멸종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꿀벌 보호 연구에 돌입키로 했다.

   
▲ 황화피해를 입은 아까시나무./사진=산림청


이러한 환경변화는 꿀벌의 활동을 어렵게 하고, 벌꿀 생산 감소 및 꿀벌의 면역력 약화를 유도한다. 전문가들은 꿀벌 생태계 파괴로 인한 피해와 경제적 손실이 점차 가중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12일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에 따르면, 꿀벌의 주요 먹이원인 아까시나무의 분포면적이 최근 수십 년 동안 급감하면서 먹이원 공급에도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꿀벌 등 화분 매개 곤충이 기온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라지게 되면 해마다 전세계 인구의 0.05% 이상이 사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이에 농진청은 여러 요인으로 발생한 꿀벌 집단폐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림청, 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와 협업하고, 기상청의 협조를 얻어 ‘꿀벌 보호를 위한 밀원수종 개발 및 생태계 보전’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농진청은 이를 위해 내년부터 8년 동안 48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동 연구개발 사업은 올해 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의 하향식 다부처공동기획연구 대상 과제로 선정돼 사회문제 해결형 부처협업 연구로 기획됐는데, 6월 과학기술혁신본부 주관의 다부처공동기획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동 사업은 이상기상 등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한 꿀벌 생태계 파괴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추진된다. 구체적으로 꿀벌의 강건성 증진과 밀원 단지화 모델 개발, 생태계서비스 연구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 부처별 연구추진 계획./자료=농진청

농진청은 꿀벌 사육과 병해충 관리 등 강건성 향상과 화분 매개 생태계서비스 강화기술 개발을 중점 추진한다.

여기에 산림청은 기후변화에 적합한 밀원수 선발과 밀원 단지 조성 모델을 개발하고, 산불 발생 지역을 비롯한 현장에 개발된 밀원 모델을 보급함으로써 산림생태계 회복에 이바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꿀벌 질병 진단과 제어기술 개발을 담당하며, 기상청은 기상 상황에 따른 밀원수의 개화 예측 모델을 개발해 양봉 농업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환경부는 등검은말벌과 같은 외래해충 관리와 생태계서비스 평가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연구개발을 1단계(기초 개발연구)와 2단계(현장 실증화)로 구분해 개발된 기술의 현장 보급까지 연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밀원 단지 기술개발 성과를 통해 안정적인 꿀벌 사육이 가능하면 꿀벌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고, 꿀벌의 공익적 가치가 현재 5조 9000억 원에서 10조 원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방혜선 과장은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른 꿀벌 집단폐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역량을 총집결하고 다부처공동연구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라며 “아울러 생태계 서비스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양봉산업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유관 부처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