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부자 감세 논란…'건전 재정' 기조와 충돌하나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윤석열 정부는 16일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에서 법인세를 비롯한 각종 세금 인하, 규제 완화 등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을 대거 제시했다.

'정부'에 쏠려있던 경제 운용의 무게 추를 '민간·기업·시장'으로 옮겨, 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재정건전성을 중시하겠다는 기조를 천명하면서도, 감세 일색의 경제정책을 추진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커지는 상황에서 대기업·부자 감세 외에, 국민들의 어려움을 덜어줄 정책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부는 16일 발표한 첫 경제정책방향에서, 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감세와 규제 완화 방안들을 제시했다.

   
▲ 산업단지/사진=연합뉴스


법인세 최고세율은 25%에서 22%로 인하하고, 종합부동산세는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조정해 낮추며, 초고액 주식 보유자 외에 국내 상장 주식 양도소득세는 폐지하고 증권거래세도 내린다.

투자·상생협력촉진 과세특례 제도 폐지, 배당소득과세 손질, 가업승계 상속세 납부유예 제도 도입 등 실질적 세 부담을 줄여주는 내용도 여럿 내놨다.

'규제 혁파'를 위해 '원인 투아웃(One In, Two Out·규제 신설시 예상되는 규제 순비용 2배 수준의 기존 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하는 제도)', 규제 원샷 해결, 규제 권한 지방 이양 등도 제시했다.

중대재해처벌법 등 경제법령의 형벌규정은 행정제재로 전환하고 형량 합리화를 추진하겠다는 방침도 내놨는데, 기업 경영 활동을 위축시키는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해주겠다는 취지다.

감세와 규제 완화를 내세운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 기조는 박근혜 정부 때의 '줄푸세(세금은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 질서는 세우자)'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복지·사회안전망 강화 방안으로는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단계적 완화, 재난적 의료비와 근로장려세제 확대 등을 언급했지만, 기업 활력 제고 등 경제 활성화 정책을 과감하게 제시한 것에 비해 ,복지 정책은 무게감이 부족하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자유시장경제를 강조하고 신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은 바람직하고 옳은 방향"이라면서도 "불평등 해소와 분배 문제 해결에 대한 내용은 미흡하다"고 말했다.

또 경제 활성화를 위해 내건 각종 감세 정책과 재정건전성 확보 방침은 충돌하는 부분이 있다.

재정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겠다며 제시한 것은 '단순하면서도 구속력 있는' 재정준칙 법제화 추진, 강력한 지출 구조조정 등이다.

저출산·고령화로 복지 지출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정부의 구상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김유찬 홍익대 교수는 "지금 경제가 위기라지만 기업의 위기는 아닌데, 법인세를 덜 받는다는 것은 오히려 국가 재정을 어렵게 만드는 것이며 적절치 않은 정책"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투자 여력이 확보되고 그게 세수 확보에도 연결될 것이라고 본다"며 "수입 측면에서 재정 건전화를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감세나 조세 정상화를 추진하는 것이고, 지출 측면에서 구조조정이 함께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금 인하 정책이 대기업이 수혜를 보는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다주택자와 주식 '큰손'에게 유리한 종부세 부담 완화와 주식 양도세 폐지 등, '부자 감세' 위주라는 점도 비판의 소지가 있다.

방 차관은 "최근 세수 증가율이 빠르게 늘어난 것은 기업과 국민 부담이 그만큼 빠르게 증가했다는 의미로, 그런 것을 정상적인 수준으로 돌린다는 측면에서 접근했다"며 "부자 감세와 관련한 내용은 이번에 없다"고 답했다.

우석진 명지대 교수는 "인플레이션 국면에는 서민이나 중소기업을 위한 재정지출이 늘어야 하는데, 법인세와 종합부동산세를 감세한다니 무슨 돈으로 그런 지출을 하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법인세를 인하하는 것에는 찬성하지만, 지금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