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한국이 '뉴스페이스' 시대에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외국 의존도를 낮추고, 다각적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항공분야에 기술을 적용하는 등을 통해 다방면으로의 확장성까지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
|
|
▲ 지난 21일 서울역 대합실에 설치된 TV를 통해 시민들이 한국형발사체(KSLV-II) 누리호 발사 장면을 시청하고 있다.(자료사진)/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23일 산학위 주관으로 소피텔앰배서더서울에서 ‘항공우주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고 4차산업 혁명의 핵심기술이 총 망라되는 위성과 무인기,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신기술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누리호 발사 성공에 따른 후속 과제 필요성을 제기하고 최근 항공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자율비행, 분산제어, 무선 데이터 링크, AI 등 기술투자 경쟁 트렌드를 반영한 주제를 선정, 토론을 진행했다.
이날 포럼에서 임재혁 전북대 교수는 "위성이 2년간 지구를 14바퀴 돌면서 임무를 수행하면 '스페이스 헤리티지'를 받는다"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우주방사선이 축적되면 전자신호에 문제가 생길 수 있지만, 이를 극복하고 일정 수준의 이상의 신뢰도를 보였기 때문에 주어지는 것"이라며 "누리호에서 발사된 위성들이 이를 확보할 경우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율을 높일 수 있다"고 기대했다.
그는 "아직 핵심 구성품의 국산화율이 낮은 탓에 통상마찰 발생시 수급 비용 및 일정 등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미국산 부품 장착시 국내 발사도 제한되는 등 차질을 빚는다"고 토로했다.
특히 "우주산업은 감시정찰을 비롯한 국가 안보 역량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산 소재·부품·장비 사용으로 제약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며 "가격경쟁력을 끌어올려 글로벌 시장 공략하는 데도 도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글로벌 우주경제 규모는 연평균 5.2% 성장, 2040년 1조1000억달러(약 1429조원)에 달할 것"이라며 "위성·지상 장비 제조 뿐 아니라 우주인터넷을 비롯한 서비스 분야의 성장도 이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
|
|
▲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이어 "민간업체가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가 열리고 있다"면서 "4차 산업 연계 기술 활용을 늘리고, 소형 군집위성 운용 및 발사체 재사용으로 경제성을 높이는 등 선주주자들을 추격·추월하기 위한 노력이 필수"라고 설파했다.
국내에서는 KAI가 국내 항공영상 분석전문업체 메이사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 2040년 900조원 규모로 형성될 시장을 노리고 있다. KAI의 자체 개발 위성을 기반으로 △자원 탐사 △작황 예측 △재난 대응을 비롯한 위성 활용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우주인터넷도 도심항공용 모빌리티(UAM)과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 받는 분야댜. UAM이 자율주행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지상기지국 보다 우주와 통신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오버에어와 UAM 기체 '버터플라이'를 개발 중인 한화시스템은 우주인터넷 기업 원웹에 3억달러(약 3540억원)를 투자, 이사회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스페이스X를 비롯한 기업들이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우주시장의 가능성을 봤기 때문"이라며 "국내에서도 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프로젝트 실패를 딛고 재도전 가능한 재정·제도적 안전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누리호가 우주로 사출한 큐브위성 등은 2년간 상공 600~800킬로미터(km) 사이의 태양동기궤도에서 지구대기관측 데이터 수집과 미세먼지 모니터링 등의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180kg급 성능검증위성도 언급되고 있다. 이는 발열전지·제어모멘트자이로와 S-밴드 안테나를 비롯한 핵심 부품이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