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환 해수부장관 “기초자원 풍부... 2027년까지 일본 따라잡을 것”
‘해양바이오 산업 신성장’ 전략 발표, R&D 1000억 원 집중투자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정부가 2027년까지 해양바이오 시장 규모를 1조 2000억 원까지 확대하고 1만3000명 규모의 해양바이오 관련 일자리 창출을 골자로 한 ‘해양바이오 산업 신성장 전략’을 수립,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 및 지원에 나선다.
조승환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 장관은 28일 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해양바이오 산업을 미래 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해양바이오 산업 신성장 전략’을 수립, 관련 산업 인프라 투자와 기업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
|
|
▲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2027년까지 해양바이오 시장규모 2배, 관련 일자리 3배 증가 목표를 담은 '해양바이오 산업 신성장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
해양바이오 산업은 해양생물에서 바이오소재를 개발해 식량, 에너지, 산업소재,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이번 전략은 △해양바이오 핵심기술 개발 △선순환 산업생태계 조성 △기업의 자율적 성장 지원체계 구축 등 3대 중점과제로 구성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서는 해양바이오산업이 질병, 자원, 환경 등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혁신성장 및 일자리 등을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산업으로 보고 있다.
현재 글로벌 해양바이오 시장은 약 7조 원 규모이나, 2027년에는 1.6배인 11조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며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국가적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연구개발(R&D) 투자 및 관련 인프라를 적극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해양생물에 대한 연구 역사가 짧아 임상 등을 위한 정보가 부족하고,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도 상대적으로 모자라 기술수준도 미국의 약 75%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해양바이오 산업에 진출한 기업들이 대부분 영세함에 따라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지 못했고, 관련 인프라와 전문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이번 ‘해양바이오 산업 신성장 전략’은 기술 중요도 및 산업의 성장 가능성 등을 토대로 기초소재 개발 및 고도화, 대량생산 및 표준화, 그리고 융·복합 연구개발(R&D) 등 분야별 핵심 기술을 선정하고 투자에 집중한다는 내용이 첫 번째로 담겼다.
먼저 해양바이오 소재 강국으로 육성하기 위해 심해저·공해 등의 해양생명자원으로부터 기초소재 확보를 강화하고, 나노기술 등 첨단기술과 융합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양생명자원 4000여 종에 대해 항암·항균 등 유용소재를 확보하고 해양바이오 뱅크를 통해 기업에 바이오 소재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동연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유전체 분석도 확대해 2027년까지 산업적 가치가 높은 해양생물 500여 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해양바이오 소재의 대량생산, 표준화 등 산업화 촉진을 위해 합성생물학 기반 연구를 확대하고 미세조류 등 대량배양 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기업과 공동으로 바이오 파운드리 도입을 추진한다.
|
|
|
▲ 해양바이오수소 생산 및 상용화 기술개발 인프라 모형./사진=미디어펜 |
특히 폐기물로 버려지는 수산부산물의 해양바이오 자원화를 실현함으로써 어촌경제 활성화 및 환경문제 개선에 기여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해양바이오 소재를 환경, 에너지, 의약 등의 분야까지 활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첨단기술과 융복합 R&D 확대 계획도 내놨다. 적조 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유용 미생물을 개발하고 양식장 등에서 질병을 유발하는 유해 바이러스에 대한 진단·치료기술을 개발하고, 버려지는 해조류를 원료로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하고 심해저 고세균의 대량생산을 통해 바이오수소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해양바이오 산업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관련 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한 거점별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핵심기술 R&D 투자를 확대해 해양바이오 분야의 투자 규모를 현재 630억 원 규모에서 2027년까지 1000억 원 수준으로 확대하고, 정부와 민간 공동펀드를 조성해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지원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해양바이오뱅크를 확대하고 해양바이오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해양바이오 소재에 대한 산업계의 접근과 이용이 확대되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기업에 투자·경영 및 연구·기술 분야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첨단 바이오 장비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혁신 스마트 해양바이오 플랫폼을 내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해양바이오 소재 발굴을 위한 전용조사선 건조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자원확보 규모를 2만3000종으로 확대한다.
이외에도 ‘해양생명자원법’ 개정 등 창의적인 기업 활동 지원을 위해 규제 혁파 등 제도개선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
|
|
▲ 국내 해양바이오 시장 매출액 및 고용현황./그림=해수부 |
조 장관은 “새롭게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해양 신산업을 통한 미래 성장을 강조하면서 해양바이오 산업 육성을 표명한 바 있다”며 “이번 대책을 근간으로 삼아 해양바이오 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개발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의 해양바이오 기술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일본 84, 중국이 76, 한국이 75 정도로 보고 있다”며 “일본도 가만있지는 않겠지만 후발주자만의 장점이 있는 만큼, 2027년까지 80 정도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5년 뒤에는 충분히 같은 수준으로는 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당초 계획했던 1000억 원의 예산이 현재 630억 원으로 조정돼 해수부 전체 R&D 예산인 8500억 원 중 7%를 차지하게 되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해수부 자체 예산 조정을 통해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1907년 동태평양에서 발견된 이후 2018년 처음으로 우리나라 남해 연안에서 발견된 미세조류는 복어독보다 강한 신경독을 가지고 있는데,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만 동 자원을 보존·관리하고 있다. 해수부는 관련 연구를 통해 약 22조 원 규모의 비마약성진통제·마취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계획이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