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가 상승·글로벌 수요 둔화 영향
[미디어펜=박규빈 기자]롯데케미칼은 연결 기준 2022년 상반기 매출액 11조973억 원, 영업이익 612억 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2분기 매출액은 5조5110억 원, 영업손실 214억 원을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26.6%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는 원료가 상승과 수요 둔화로 업황이 악화되며 수익성이 하락했다"며 "생산 효율성 제고와 고부가 제품의 판매 확대를 통해 수익성 방어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사진=롯데케미칼 제공

롯데케미칼과 기초소재사업 매출액은 3조4534억 원, 영업손실 84억 원으로 집계됐다. 여수공장 정기보수에 따른 기회손실이 반영됐으며, 원료가 상승 및 글로벌 수요 둔화의 영향을 받았다.

첨단소재사업은 매출액 1조2346억 원, 영업이익 714억 원을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우려에따른 전방 수요 급감에도 불구하고 주요 제품의 원재료가 안정화 영향으로 지난 분기 대비 수익성이 개선됐다.

말레이시아 소재 자회사 롯데케미칼타이탄은 매출액 8218억 원, 영업손실 600억 원을 기록했다. 중국 수요 둔화와 원재료 가격 부담에 따른 영향으로 적자 전환했다.

LC USA는 매출액 1784억 원, 영업이익 38억 원을 냈다. 유럽향 천연가스 수출 수요 증가로 원재료가는 급등한 반면, MEG 제품 수요 약세가 지속되며 수익성이 하락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하반기 전망에 대해 "납사 가격 하락에 따른 원가 부담이 일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인플레이션 우려와 코로나 재확산 영향으로 글로벌 수요 약세가 심화되며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2030 비전 추진을 위해 스페셜티 제품 연구개발과 고부가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수소 에너지·전지 소재·리사이클 플라스틱 등의 신사업을 계획대로 차질없이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