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감산 가능성·미국 원유 재고 감소 기인
정제 마진, 6달러 선 후퇴, 법인세·'횡재세' 압박
이창양 산업부 장관, 횡재세 도입 사실상 반대
[미디어펜=박규빈 기자]유럽 지역 가뭄 탓에 화력·원자력 발전 가동률이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체재인 LNG 가격이 올라 상대적으로 저렴했던 경유·등유의 수요가 늘고 있다. 

이에 국제 유가가 2개월 만에 다시 상승 국면을 보임에 따라 정유업계가 하반기에도 호실적이 예상되지만 정제 마진 하락과 각종 규제 탓에 실적 가늠이 쉽지 않다는 평가도 나온다.

   
▲ 유가 정보 사이트 '오피넷' 캡처./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

31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13시 기준 전국 휘발유 판매 가격은 전일 대비 1.07원 오른 리터당 1741.53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경유 판매가는 30일보다 2.06원 오른 리터당 1814.4원이다.

휘발유·경유는 지난 6월 30일 각각 2144.9원, 2167.66원으로 역대 최고치로 기록됐다. 이후 유류세 추가 인하와 국제 석유 제품 가격이 떨어진 덕에 7월 1일부터 지난 26일까지 57일 간 꾸준히 하락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지난주부터는 이 같은 기조가 둔화되는 모습이 나타났고, 지난 27일부터는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국내 휘발유·경유 판매 가격이 재차 오르기 시작한 건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국제 휘발유(92RON) 가격은 지난 5일 배럴당 100.05달러에서 지난 30일 108.56달러로 8.51달러 올랐다. 국제 경유(0.001%) 가격은 지난 8일 배럴당 123.76달러에서 지난 25일 152.56달러로 28.8달러 상승했다.

이처럼 국제 석유 가격이 오르는 배경으로는 OPEC+가 감산할 가능성과 미국의 원유 재고 감소 등이 꼽힌다.

오일 프라이스에 따르면 두바이유는 지난 17일 배럴당 93.46달러에서 29일 96.88달러, 북해산 브렌트유도 16일 배럴당 92.34달러에서 24일 101.1달러로 올랐다.

석유는 선물 거래로 이뤄지는 만큼 보통 2~3주 후에 국내 소비자 판매 가격이 결정된다. 국제 석유 시장에서 가격이 오르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 석유 판매 가격도 당분간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경유 가격은 천연 가스(LNG) 가격 강세와 본격 난방철 시작 등 세계 각국의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당분간 우상향 그래프를 그릴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극심한 가뭄이 찾아와 독일 라인강은 수위가 낮아졌고, 현지 화력 발전소들은 석탄 수급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강의 수온이 높아져 원자력 발전소 가동률을 낮췄다.

이 와중에 국내 정유 4사의 상반기 총 영업이익은 12조3203억 원으로 집계됐다. 회사 별로는 SK이노베이션 3조9783억 원(전년비 249%↑), GS칼텍스 3조2133억 원(218%↑), 에쓰오일 3조539억 원(154%↑), 현대오일뱅크 2조748억 원(206%↑) 등의 순으로 '돈벼락'을 맞은 셈이다.

2020년 5조 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과는 전혀 다른 상황이다.

국내 정유 4사가 이 같은 실적을 거둘 수 있던 건 코로나19 진정세로 이동량의 증가로 정유 수요가 급증했고,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러시아산 원유 수출 제재로 공급량이 감소한 점에 기인한다. 정제 마진 역시 6월 5주차에 배럴당 29.5달러까지 치솟았다. 정제 마진은 통상 배럴당 4~5달러가 손익 분기점이다.

상반기 휘발유 수출량은 5197만7000배럴, 경유 수출량은 9510만2000배럴, 수출액으로 따지면 279억5600만 달러(한화 약 37조5421억 원)로 역대 최고 실적이다.

국내외 여러 요인을 고려하면 정유사들의 실적 랠리가 계속 이어질 것 같지만 하반기 전망은 어둡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현재 원-달러 환율은 1352원을 돌파해 13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정유업계는 매출 원가 중 50% 이상이 원유 구매 비용에 해당한다. 

싱가포르 복합 정제 마진은 이달 들어 6달러 선까지 후퇴했고, 코로나19 재유행과 유럽연합(EU)의 대러 제재 완화 가능성이 대두됨에 따라서다. 이 같은 이유로 하반기 수익성을 지키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정유 4사는 하반기 법인세도 납부해야 하고, 국회 입법조사처가 '2022 국정감사 이슈 분석'을 통해 '횡재세' 부과 필요성을 언급해 압박을 받고 있기도 하다.

한편 관계 당국은 횡재세 도입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횡재세 도입 취지에는 동의하나, 기금 출연·부과금 등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실상 난색을 표했다.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