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다빈 기자]오세훈 서울시장이 새로운 정비사업 모델로 도입한 '모아타운'에 재개발이 어려웠던 지역 주민들과 건설사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민들에게는 모아타운 개발 추진시 정비계획 수립, 관리처분계획인가 등을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이점으로 작용했다. 건설사들도 모아타운 대상지를 수주하면 기존 소규모 정비사업을 대단지로 개발할 수 있어 눈여겨 보고 있다.
|
|
|
▲ 울시 1호 모아주택 사업을 추진 중인 번동 일대 전경./사진=미디어펜 |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세훈표 모아타운 사업 지역을 추가로 공모한 결과 19개 자치구에서 총 39곳이 신청했다. 앞서 상반기 모아타운 공모에서는 서울시내 14개 자치구에서 총 30곳이 신청했고 지난 6월 21곳이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를 포함해 현재 16개 자치구 38곳에서 모아타운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추가 공모는 지난 7월 7일부터 이달 5일까지 진행됐으며 이번 공모에는 기존 모아타운 대상지가 없는 9개 자치구 모두가 참여해 서울 25개 전 자치구에서 모아타운 추진 의사를 전했다. 이번 공모에 추가로 참여한 자치구는 용산구, 광진구, 동대문구, 성북구, 은평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강남구 등이다.
서울시는 사전 적정성 검토와 전문가 선정위원회를 거쳐 내달 중으로 대상지를 최종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대상지 최종 선정에는 최근 장마 및 태풍의 피해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반지하 주택을 순차적으로 없애기 위해 상습침수 또는 침수 우려 지역과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지역을 우선 검토할 방침이다.
모아타운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면적 10만㎡ 미만, 노후‧불량건축물이 50% 이상인 일반주거지역을 대상지로 한다. 이 일대를 대단지 아파트로 탈바꿈해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고 지하주차장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지역 단위 정비방식이다.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주거지를 정비하는 모아타운 특성상 재개발 추진 또는 예정 지역 등은 제외된다.
모아타운으로 지정된 지역은 내 블록 단위(1500㎡ 이상)로 공동 개발하는 ‘모아주택(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주민 의견수렴을 거쳐 지역 내 재개발이 어렵고 노후주택 및 기반시설 정비가 필요한 모아타운 대상지를 발굴해 서울시에 신청하면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최종 대상지를 선정하게 된다.
후보지로 선정된 지역의 주민들은 모아타운으로 지정시 정비계획 수립과 조합추진위 승인 및 관리처분계획 인가 등 인허가절차가 생략 및 간소화되면서 빠르면 2~4년 안에 사업을 완료할 수 있기에 동의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존 나눠진 블록 단위 개발을 통해 '나홀로 아파트'가 우후죽순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대단지 아파트처럼 도로·주차장·공원 등 기반시설 조성도 가능해진다.
건설사들의 관심도 뜨겁다. 도시정비사업 시장의 수주 경쟁이 심화되며 대형 건설사들까지 소규모 재건축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재개발이 어려웠던 지역이 모아타운으로 통합되면 단일 재개발의 형태로 아파트를 신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아타운 1호 강북구 번동의 시공사로 선정된 코오롱글로벌도 해당 지역 일대 가로주택정비사업 5개 구역이 모아타운으로 지정돼 하나의 대단지 개발이 가능해졌다.
DL건설도 지난달 2호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된 중랑구 면목동의 면목역2구역 가로주택사업을 수주했다. DL건설은 해당 사업의 시공권 확보로 인근 지역 내 모아타운 조성을 위한 초석을 다지게 됐으며 이 일대 정비구역 수주를 이어가며 'e편한세상' 브랜드 타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조합의 입장에서는 재개발 사업이 통상적으로 10년가량 소요된다는 점과 비교해 인허가 등 절차 간소화로 인한 빠른 추진이 가장 큰 장점일 것"이라며 "수주 경쟁이 비교적 덜한 소규모 정비사업지를 대단지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중견건설사들의 참여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