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금융 발전...대출보다 투자로의 인식 전환 필요

[미디어펜=김은영 기자] 기술금융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가치기반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8일 은행연합회관 국제회실에서 열린 '창조경제 경제 활성화를 위한 금융제도 개혁' 정책 심포지엄에서 김영규 기업은행 IB본부 부행장은 "기술금융 발전을 위해서는 기존 대출의 비중을 줄이고 투자의 비중이 커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술금융은 기술을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기술의 평가를 통해 필요한 자금을 대출·투자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초석단계로 지난 7월 기술신용평가기관(TCB)를 지정하고 기술정보 DB를 구축했다. 기술금융을 위해 정부는 지난해 9조원에서 올 3월말  20조원까지 재정 지원을 확대했다. 이 결과 TCB의 기술신용평가를 기반으로 3만537건의 대출 건수가 발생했다.

기술금융의 발전을 위한 정부와 금융기관의 노력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만족도는 높았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기술금융을 이용하고 있는 중소기업 400개를 대상으로 한 '중소기업 기술금융 이용실태 및 의견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82.3%가 제도 이용에 '만족(매우만족 32.3%)' 하다고 답했다.

김 부행장은 불확실성이 높은 기술금융의 특성상 대출보다 투자가 더 적합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기술금융의 인프라 구축 시기였던 1.0 시대, 가반을 형성하는 2.0시대를 넘어 이제 우리의 경제에 희망을 줄 수 있는 시대로 가야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투자가 잘 이뤄지지 않은 것은 지분투자에 따른 경영권 침해, 수익분배에 대한 거부감 등으로 투자 유치를 기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행장은 "이자비용이 소요되는 대출과 달리 투자를 통한 자금조달은 별도 비용부담이 없다"며 "이제는 기술금융 발전을 위해서는 투자가 활발해야 하는 3.0시대가 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해외에서는 기술금융의 대부분이 투자형태로 이뤄지고 있다. 미국은 지난 2012년 투자기관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성행하며 약 100조원 규모의 금융시장을 형성했다. 이스라엘도 기술금융의 대표적인 벤처투자정책인 요즈마펀드의 벤처 캐피탈을 중심으로 약 5조원 규모의 펀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빗대어 김 부행장은 "기술가치 평가 투자펀드를 조성해 기술가치 평가에 기반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