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국내 반도체 산업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
"정부가 사전단계부터 인지하고 잘 준비해 기업에 도움"
[미디어펜=조한진 기자]미국이 고강도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를 공식화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향후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장 한국 기업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오지만 경영 부담 확대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상무부는 7일(현지시간) 특정 첨단 컴퓨팅 반도체 및 수퍼컴퓨터용 반도체칩 등에 대한 제한적 수출 통제 및 특정한 반도체 제조 장비에 대한 새 수출 통제 방침을 발표했다.

   
▲ 반도체 생산라인 클린룸/사진=삼성전자 제공

이번 조치로 미국은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장비의 중국 판매를 사실상 전면 제한했다. 다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중국에 반도체 생산시설을 보유한 외국 기업의 경우 개별 심사를 거쳐 판단하기로 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이다.

미국의 규제가 향후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는 가운데 국내 반도체 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사전 단계부터 인지하고 잘 준비해줘 기업에게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정부와 긴밀한 소통 채널을 구축해 앞으로 변화에 대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정부 등과 함께 시장 변화에 대응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 사장은 지난달 미국이 주도하는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와 관련해 "정부가 할 일 기업이 할 일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미중 갈등 속에서도 서로 윈윈하는 솔루션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SK하이닉스는 정부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SK하이닉스는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미국으로부터 라이선스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와 서류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정부 노력에 보조를 맞춰 국제질서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중국 공장을 문제없이 운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의 새로운 규제는 미국 기업이 △18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핀펫 기술 등을 사용한 로직칩(16nm 내지 14nm) 등을 초과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장비·기술을 중국에 판매할 경우 별도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