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메시지 기조 배경에 대해 "주최측 여부, 국민 안전 지키는데 아무런 의미 없어"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대통령실은 1일 윤석열 대통령이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게 된 배경에 대해 "모든 상황에 대해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제도 개선에 대해 말한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을 만나 '오늘은 윤 대통령의 관련 메시지가 달라졌다고 봐야 하느냐'는 질문에 "메시지가 달라진게 아니다"라며 이같이 답했다.

관계자는 "어제 말씀드린 포인트는 제도의 한계를 말한 것"이라며 "오늘 윤 대통령 발언은 주최측이 있느냐 없느냐는 국민 안전을 지키는데 있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관계자는 "모든 상황에 대해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제도 개선에 대해 말한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메시지가 바뀐 것이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말한다"고 강조했다.

   
▲ 윤석열 대통령이 11월 1일 녹사평역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한 후 국화꽃을 놓기 위해 1번 출구 앞으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또한 이날 대통령실 관계자는 '명칭과 관련해 (정부가) '사고 사망자'라고 언급하지만, 야권에서는 책임과 관련해 '참사 희생자'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는 질문에 "윤 대통령이 사고 다음날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면서 이렇게 말했다"며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나선 안될 비극과 참사가 발생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관계자는 "참사나 이런 용어를 두고 현 정부가 축소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믿는 국민들은 없다고 생각한다"며 "공식적인 행정 문서에서 표현하는 것을 현 정부가 갖고 있는 애도의 마음과 혼돈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