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대표적인 불황형 대출로 꼽히는 보험약관대출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은행권의 신용대출금리가 연 7%대까지 치솟으면서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곳을 찾는 사람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 은행권의 신용대출금리가 급등하면서 보험약관대출을 찾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기준 국내 34개 생명·손해보험사의 가계 약관대출 잔액은 65조73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4조1300억원) 늘었다. 전분기 대비로는 0.4%(2708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반면 같은 기간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2조9305억원 줄어들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서는 보험 등 기타금융기관에서의 대출이 2조8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대출 증가가 약관대출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보험약관대출은 은행의 예·적금담보대출처럼 보험계약을 담보로 해지환급금 일정 범위(50~95%) 내에서 일정 금액을 대출해주는 상품으로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어 원리금을 자유롭게 상환할 수 있다. 또 신용이나 담보 등에 상관없이 본인 확인 등 간단한 절차만 거치면 대출을 받을 수 있어 급전이 필요한 보험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한다.

여기에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은행권의 신용대출금리 상승세가 계속되자 수요자들의 발길이 보험사로 몰리는 모습이다.

은행권 대출금리 상단이 연 8%대를 넘어선 가운데 보험계약대출 금리는 아직 연 4%대 수준이다. 손해보험·생명보험협회가 공시한 지난 10월 기준 보험사별 약관대출 취급금리를 보면, 변동금리 상품을 취급하는 33개 보험사 평균 금리는 연 4.13%(금리연동형)다.

보험약관대출 금리는 은행 변동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를 따르지 않고 가입된 보험의 공시이율(금리연동형)이나 예정이율(금리확정형)에 가산금리(약 1.5~2%포인트)를 더해 산출하기 때문에 시장금리 영향을 덜 받는다.

한도가 부족하거나 은행권 대출규제 강화로 1금융권에서 대출이 어려운 차주들이 보험업권으로 옮겨가는 풍선효과도 나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보험약관대출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포함되지 않아 금융사에 대출이 다 찼더라도 추가로 대출을 일으키기가 용이하다.

다만 약관대출은 급전이 필요한 보험가입자들이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출금을 갚지 못하게 될 경우 보험이 해지되는 사례가 늘어날 수도 있다. 이자가 미납되는 경우에는 원금에 가산된 이자가 붙기 때문에 이자율이 크게 오르고, 이렇게 쌓인 미납금이 해지환급금을 초과하면 보험계약이 자동으로 해지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 약관대출은 보험 가입 시점, 보험상품 종류, 보험회사에 따라 대출금리가 천차만별이다. 오래전 가입한 고금리 상품일수록 대출금리도 그만큼 높아지므로 사전에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