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최인혁 기자] “고마워, 밍밍” 지난 8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한 민주당원들의 외침이다. 이 대표가 취임 직후 “당의 주인은 당원”이라며 당원과 당직자들 사이 양방향 소통에 기틀을 마련하자 화답을 보낸 것이다.
이 대표가 도입한 소통 정책은 기존 정당사에 없었던 것으로 당원들로부터 큰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줄곧 지적됐던 ‘사당화’ 수단이라는 비판은 극복하지 못해 소통 결과는 ‘밍밍’하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이 대표는 지난 9월 새 지도부 출범 직후부터 민생 정당을 표방하며 당원과 국민을 대상으로 한 소통 확대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동안 권리가 소외돼 왔다’는 당원들의 주장에 응답하고 대안정당으로 차별화에 나선 것이다.
|
|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월 5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에서 '당원존' 개관식 겸 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자료사진)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이에 당원청원시스템(국민응답센터)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킨 것은 물론, 국내 정당 최초로 중앙 당사에 당원존을 개소해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 또 전자 당원증 도입으로 소외감을 느꼈던 당원들에게 소속감을 부여하고 이들을 결집시켰다는 긍정적 성과도 거뒀다.
하지만 많은 성과에도 불구 꼬리표처럼 따라붙던 ‘개딸 전유물’이라는 지적을 개선하지 못해 비판의 여지를 남겼다.
앞서 이 대표의 소통 정책은 당내에서도 반발의 목소리를 샀다. 비명계 중진 의원은 당원청원시스템 도입에 대해 “마구잡이 비방이 난무할 것”이라며 “자칫 쓰레기 더미에 불과할 수 있다”고 여과 장치 도입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비명계 재선 의원은 당원존에 대해 “강성 당원들과 개딸 기 살려주기용”이라며 과도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소통도 중요하지만, 제도가 미비한 상황에서 성급하게 정책을 추진할 경우 부작용이 더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실제 이들의 지적은 이재명 표 소통 결과로 투영되고 있다. 당원청원시스템의 주요 청원 내용은 현재까지도 친명계 의견에 동조하지 않은 당원에 대한 징계 촉구다. 건설적 토론이란 도입 취지와 달리 소수의견 억압용으로 전락했단 지적이 나온다.
또 당원존을 야심차게 개소했지만, 정작 활용하는 당원은 예상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진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원존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활용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지만 최근 중앙 당사에 압수수색이 이어지자 ‘당원존 방문이 부담된다’는 목소리가 커 성공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아울러 이 대표는 당직자 업무연락처와 직무 공개도 주문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실현돼 보지도 못한 채 좌절된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시행한 소통 정책이 자리 잡지 못한 탓에 당직자를 향한 ‘좌표 찍기’ 등의 부담이 표면적 사유로 거론된다. 이에 이 대표의 소통 정책은 외관만 갖췄을 뿐 정작 실속은 챙기진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더불어 이 대표의 ‘선택적 소통’도 성과를 덮는 배경이 됐다. 이 대표는 그간 국민 소통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정작 취임 100일 기념 간담회는 생략했다. 사법 리스크가 확산되자 관련 질의가 쏟아지는 것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가 사법 리스크 탓에 소통을 회피하자 다수의 성과를 거둔 그의 정책도 ‘반쪽짜리’라는 오명을 쓰게 됐다. 따라서 이 대표가 직접 취임 100일 성과로 내세웠던 소통 정책이 '밍밍'하다는 지적을 극복하기 위해선 사당화와 사법 리스크 논란은 꼭 극복해야 할 숙제로 여겨진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