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금리 위험요소 다분, 일선에서는 '고정금리 유리하다' 의견 

[미디어펜=최상진 기자] 금리인상에 요동치는 변동금리 가계대출 규모가 700조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금리의 달콤함이 어떤 후폭풍을 불러올지 모른다”며 각 금융사 일선에서는 우려섞인 목소리를 냈다.

4월 기준으로 변동금리 대출규모는 700조원에 이른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 가계대출 약 1029조원에 적용하면 70% 가량이다.

저금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고정금리보다 1%가량 낮은 변동금리는 당장이라도 대출을 고려해봄직 하다. 정부가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전환시키는 안심전환대출을 본격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일선 은행에서는 최근까지 변동금리 대출을 우선시했다.

   
 

저금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변동금리는 솔깃한 유혹이다. 그러나 1%의 금리만 올라도 가계부채 부담은 7조원이 늘어나게 된다. 달콤한 사탕 속에 시한폭탄이 들어있는 셈이다.

문제는 저금리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냐는 점이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연내 금리인상을 예고한 만큼 국내 금리정책의 변화도 불가피하다. 금리인상의 폭과 속도에 따라 충격은 배로 가중된다.

지난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대비 부채비율은 164%로 2012년 OECD 평균 136%보다 월등히 높다. 1%의 추가 이자부담도 가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정부가 안심전환대출을 통해 파격적인 금리 인하를 제시했지만,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값아 나가는 조건으로 인해 저소득층보다 중산층에게 혜택이 돌아갔다는 비판도 불거지고 있는 상황이다.

26일 시중은행 세 곳의 점포를 방문해 문의한 결과 모두 위험도가 높은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를 추천했다. A은행 직원은 “한 달 전만 해도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높았다. 조만간 미국발 금리인상이 국내 변동금리에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고, B은행 직원은 “변동금리 기준을 어디에 잡느냐에 금리가 많이 달라질 수는 있지만, 현 시점에서 위험이 따른다. 고객에게 추천해드리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미국 금리인상은 우리나라 시중금리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며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저소득층이 상환불능 상태에 빠져 경제적 자립이 불가능해 지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