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금융위원회는 오는 16일부터 기존 금융맵 서비스(금융대동여지도)에서 제공하는 금융권 ATM·지점 위치정보를 네이버지도, 티맵, 현대·기아차 내비게이션 등 국내 주요 지도플랫폼에서도 조회할 수 있게 된다고 15일 밝혔다.

   
▲ 금융맵 DB 연계 민간 지도플랫폼./자료=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와 한국은행(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은 금융소비자의 금융접근성 및 이용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 금융결제원 및 금융권과 공동으로 ATM・지점의 정보를 통합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금융맵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 서비스는 ATM・지점 위치 등 기본정보 외에도 취급서비스, ATM 수수료, 폐쇄 예정 정보, 장애인지원 기능 등 다양한 세부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금융위와 한국은행은 금융소비자가 별도 앱 설치 없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대중적인 지도플랫폼을 통해서도 금융맵 서비스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채널 확대를 추진했다. 그동안은 금융맵 앱, 모바일현금카드 앱, 어카운트인포 앱 등 별도앱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 가능했다.

또 금융맵 서비스 DB와의 연계를 통해 CD·VAN사 운영 ATM 위치정보를 보다 폭넓게 포함하고 있으며 이동, 폐쇄 등 ATM・지점 위치정보 변경 시 적시성(매일 1회 업데이트) 있게 반영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금융회사, 지도플랫폼 사업자 등 참여기관은 향후 ATM・지점 정보제공 창구가 금융맵 DB로 일원화되고 자동화됨에 따라 정보제공 및 입수에 따른 업무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소비자의 금융접근성 및 이용 편의성 제고를 위해 금융권과 함께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며 “지도플랫폼이 제공하는 ATM・지점 관련 정보를 보다 다양화(폐쇄 예정정보, 장애인지원 기능 등의 정보를 추가 반영)해 나가는 가운데 금융맵 서비스 참여 지도플랫폼도 확대해나가고, 수집된 금융맵 데이터 분석 등을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ATM 운영 공조방안 수립 등을 지속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