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정기 신용위험평가…부동산 등 내수산업서 증가세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C·D등급 수준의 부실 징후를 드러내는 기업들이 올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C·D등급 수준의 부실 징후를 드러내는 기업들이 올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김상문 기자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은행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을 평가한 결과 185개사가 부실징후 기업(C·D등급)으로 선정됐다. 1년 전보다 25개사 증가했다. 정기 신용위험 평가는 채권은행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다. 등급별로 필요한 사후조처가 따른다.

평가에 따르면 C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 높음)은 전년보다 5개사 늘어난 84개사, D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 작음)은 20개사 증가한 101개사였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 2개사,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이 183개사였다.

부실징후기업 수는 코로나19 기간 유동성 지원 조치 등으로 감소했다가 올해 다시 증가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한계기업 증가 및 복합위기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 악화가 심화한 데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업이 20개사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금속가공 16개사, 부동산 15개사, 도매·상품 중개 13개사 순이었다. 업종별 증감을 살펴보면 내수 산업인 부동산업이 12개사 늘면서 가장 두드러졌고, 식료품 제조업 8개사, 도매·중개업 6개사 각각 증가해 눈에 띄었다. 실적 호조를 보인 자동차업과 금속가공은 각각 7개사 5개사 감소했다.

부실징후기업 증가에도 은행권 건전성에 미칠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이 증가했지만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지난 9월 말 기준 1조 5000억원으로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액이 약 1367억원으로 추정되는데, 이로 인한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변화폭은 0.01%포인트(p)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금감원은 평가 결과에 따른 기업 지원을 실시한다는 입장이다. C등급의 워크아웃 신청 기업에 대해서는 자구 노력을 전제로 채권단 금융 지원을 통한 경영 정상화를 추진한다.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정상 기업 'B등급'에 대해서는 신속금융지원 제도나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지원이 이뤄진다. 

이 외 산업부·중기부·캠코 등의 기업지원 제도에 은행권 참여를 확대해 금융지원 외 사업구조 개편, 진로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도 이어질 전망이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