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개인 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연 8% 턱밑까지 치솟은 가운데 한국은행이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고 당분간 긴축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밝힌 만큼 대출금리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
|
|
▲ 개인 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연 8% 턱밑까지 치솟은 가운데 한국은행이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고 당분간 긴축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밝힌 만큼 대출금리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사진=김상문 기자
|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최근 은행권에 대출금리 인상 자제를 압박하면서 금리 인상이 다소 주춤한 분위기지만,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예고돼있는 만큼 대출금리 인상은 막기 어려울 전망이다.
한은은 올해 통화정책방향과 관련해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더라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물가안정에 최우선 목표를 두고 정책을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거듭 밝혀왔다. 이창용 총재는 전날 신년사에서도 "국민 생활에 가장 중요한 물가가 목표 수준(2%)를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통화정책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정책기조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한은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고 강도 높은 긴축에 나섰지만 소비자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전년대비 5.1% 오르며,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7.5%) 이후 최대 폭을 기록했다. 한은은 올해 초에도 소비자물가가 5% 내외의 높은 상승률을 어어갈 것으로 전망한다.
여기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통화정책 유지도 한은의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연준은 지난해 일곱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연 4.50% 인상했으며, 이는 1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준은 올해도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에선 최대 5% 중반까지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연 3.25%로 미국과의 금리 차이는 1.25%포인트다. 금리 역전의 폭이 커질수록 외국인의 자본이 대거 유출될 가능성이 커지며, 원화 가치(원·달러 환율 상승)도 우려도 커져 한은의 선제적 대응이 요구된다. 원화 가치 하락은 수입물가를 끌어올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시장에선 한은이 올해 기준금리 상단을 3.50~3.75%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근 당국에서 은행권에 대출금리 인상 자제를 압박하고 있지만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대출금리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전달보다 0.63%포인트 오른 연 7.85%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6월(연 7.89%) 이후 10년 5개월 만에 최고치다. 주택담보대출은 연 3%대 정책모기지인 안심전환대출의 영향으로 0.08%포인트 내일 연 4.74%를, 전세 가계대출금리는 전달보다 0.23%포인트 오른 5.57%를 기록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