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조장하는 언론·시민 비웃는 또 다른 시민이 진짜 '적'
   
▲ 정소담 전 사회안전방송 아나운서

메르스로 온 나라가 들썩인다. 지난 사스와 조류독감 사태를 떠올리게 한다. 이런 일이 생기면 결국 누군가는 비난할 대상을 찾아낸다. 한쪽에선 정부를 비판하고 보건당국을 욕한다.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세력이 움직인다. 다른 쪽에선 공포에 질려있는 사람을 손가락질한다. 마스크를 쓴 일반시민을 향한 조롱도 보인다.

메르스는 독감 정도의 질병이라는 관점이 의학계에서 나오고 있다. 두 번째로 완치된 환자로부터 "일찍 치료했더니 독감보다 약하게 앓고 지나갔다"는 인터뷰도 나왔다. 지금까지 발생한 사망자 중 ‘메르스만으로’ 사망한 사람은 없다. 메르스의 위험은 그리 커다란 질량이 아닐지 모른다. 다행한 일이다.

그런데 메르스가 심각한 전염병인양 사회불안을 조성해온 건 누구일까. 비판 받아 마땅한 것은 언론 정도가 될 것이다. 뉴스를 보지 않고도 사태를 꿰뚫을 수 있는 통찰력 있는 소수의 사람들도 있지만 대다수 국민은 언론 보도를 보고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치사율이 40%라고 언론이 보도하는데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다면 그 편이 비정상 아닌가?

이 혼란을 이용하려는 정치 세력도 문제다. 이들은 지금 언론과 ‘기묘한 공조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언론이 잔뜩 과장하면 정치인은 그 보도를 인용하고, 그 인용을 언론이 다시 인용해 보도하는 구조다. 그렇게 메르스 공포는 이미 ‘한여름의 눈덩이’처럼 잔뜩 과장되고 말았다. 여기까지가 ‘드러난 위협’이라면 다음은 뭘까.

조심하는 시민들을 향해 호들갑 떤다고 손가락질 하는 ‘또 다른 시민들’ 역시 불편한 존재이긴 마찬가지다.

   
▲ 법을 어기는 것도 아니고 타인한테 민폐를 끼치는 것도 아닌데, 보이지 않는 메르스가 두려워 집밖으로 나오지 않고 마스크 없인 어디에도 안 가는 사람을 무슨 명분으로 비난할 수 있을까. /사진=연합뉴스TV 캡쳐

해마다 교통사고와 같은 재해 혹은 결핵, 폐렴과 같은 질병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죽는다는 걸 모르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렇다 해도 메르스를 더 무섭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은 데에는 이유가 있다. 교통사고와는 달리 눈에 보이지 않고 결핵과는 달리 낯설기 때문이다. 어른스럽지 못하다 해도 보이지 않는 낯선 것에 과도한 공포를 갖는 것이 인간의 속성이다. 굳이 한국인만 비판할 일도 아니다.

일반 시민들을 붙잡고 ‘평소에 다른 재해로는 몇 명이 사망하는 줄 아느냐’고 ‘왜 그렇게 호들갑이냐’고 꾸짖을 필요 없다. 덜 죽는다고 해서 덜 위중하다는 벤담의 공리주의식 사고는 메르스가 현안이 된 지금은 별로 적절하지 않다.

그렇게 따지면 예비군은 3명 사망했을 뿐이고 알카에다에 의한 김선일 참수도 단 한 명의 죽음일 뿐 아니었나? 사상자가 적은 일에는 적은 비용을 투자하고 사상자가 많은 죽음에는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이 복잡한 세상사는 그리 간단히 굴러가지만은 않는다. 누구의 잘못으로 인한 것이든 공포가 너무 커져서 커다란 ‘공포 비용’을 지불하고 있을 뿐 아닌가. 

시민들이 다들 그렇게 호들갑을 떨고 있는 것도 아니다. 다수의 시민은 메르스 안전 수칙을 공유하고 대처방법을 이야기하며 이 사태에 조용히 대처하고 있다. 우린 다 죽을 거라고 낙타가 위험하다고 대체 어떤 시민이 말했나? 

낙타를 조심하라는 보건복지부의 안내문은 오히려 큰 비웃음을 사며 수많은 패러디를 양산했다. 가족의 안위를 걱정하고 유행하는 질병이 우려될 뿐인 시민들을 손가락질 하는 건 사람들을 선동하며 과잉공포를 조장하는 세력만큼이나 심각한 역(逆)선동이 될 수도 있다. 존재하지 않는 허수아비에 대고 손가락질 하는 꼴이기도 하다.

할아버지가 결핵으로 돌아가셨다. 매년 결핵협회에서 발행하는 크리스마스씰을 산다. 아내는 출근하는 남편에게 매일같이 “운전 조심해” 한다. 엄마는 20년 째 집을 나서는 딸에게 차 조심을 당부한다. 각자 자신의 안위를 지키기 위한 각자의 노력을 하며 그렇게 살아간다.

법을 어기는 것도 아니고 타인한테 민폐를 끼치는 것도 아닌데, 보이지 않는 메르스가 두려워 집밖으로 나오지 않고 마스크 없인 어디에도 안 가는 사람을 무슨 명분으로 비난할 수 있을까. 유아적 공포로 칩거를 택하는 것도 모두가 그렇게 사랑하는 '자유' 아닌가. 시민의 공포는 무죄다. 그들은 기사를 읽었을 뿐이다. /정소담 칼럼니스트, 전 사회안전방송 아나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