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3차 출석 전 장외집회·이상민 탄핵소추로 단일대오 재정비
권오수, 도이치모터스 사건 유죄 판결…'김건희 특검' 동력 마련
김건희 특검 찬성 66.4%…여론 힘입어 '패스트 트랙' 추진 전망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장외 집회로 지지층을 영끌한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3차 검찰 소환 조사에 반격의 고삐를 당기고 있다. 이들은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탄핵소추안 가결에 더해, 김건희 여사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 의혹 특검 관철로 이 대표 사법 리스크를 상쇄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지난 10일 이재명 대표의 3차 검찰 소환에 앞서 지지층 결집에 혼신의 힘을 쏟았다. 이 대표가 검찰로부터 거듭 소환 조사를 당하자 내부에서 끊임없이 잡음이 생성돼 대여투쟁의 메시지조차 잠식됐기 때문이다.

실제 비명계 의원들은 그동안 이 대표와 친명계 지도부가 주도하는 대여투쟁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이 대표 사법 리스크에 부정적 여론이 강하자 강경 대응의 정당성 보다 오는 2024년 총선에서 역풍이 불 것이란 우려가 더 고려된 탓이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월 30일 국회 당대표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자료사진)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에 비명계 의원들은 이 대표 중심의 대여투쟁에 동참하기보다 이 대표가 검찰로부터 기소될 경우 당직을 정지하는 당헌80조 적용 및 국회에서의 체포 동의안 가결의 당위성을 언급하며 이 대표와 거리감을 뒀다.

하지만 비명계는 지난 4일, 6년 만에 국민보고대회 형식으로 개최된 대규모 장외 집회 후 단일대오에 대한 잡음을 축소하게 됐다. 지도부가 이목을 사로잡는 장외 투쟁을 활용. 지지층을 결집하고 강경투쟁의 필요성을 입증함으로써 단일대오 이탈 명분을 앗아간 영향이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장외투쟁에 앞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이제 야당 반격의 시간”이라며 “이상민 행안부 장관을 탄핵하고, 김건희 특검을 관철해야한다”며 야당의 제1 가치가 바로 ‘대여투쟁’임을 강조했다. 

지도부가 앞장서 대여투쟁에 동참할 것을 역설한 덕에 민주당은 지난 6일 이탈 표 없이 이 장관 탄핵소추안을 국회에서 가결시켰다. 지지층 결집으로 단일대오 재정비와 대여투쟁 동력을 확보한 것이다.

지지층 결집을 확인한 민주당은 이 장관 탄핵소추를 발판 삼아 김 여사 주가 조작 의혹 특검 또한 관철시키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난 10일,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이 주가 조작 사건과 관련해 1심에서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를 받은 만큼 김 여사가 이른바 ‘전주’로 개입됐다는 의혹에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SBS가 여론조사기관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민주당이 추진하는 김건희 여사 특검 도입에 대해 응답자 66.4%가 '진상 규명을 위해 추진해야 한다'고 답해 패스트 트랙 강행에 역풍 우려가 미약하다는 점도 강경투쟁을 부채질하고 있다.

이에 박범계 검찰 독재정치 탄압 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이자 김건희 여사 특검 TF 고문은 “특검법안을 신속처리 안건(패스트 트랙)으로 지정해 여당이 위원장인 법제사법위원회를 우회할 구상”이라며 이 대표 사법 리스크에 김 여사 특검으로 반격에 나설 계획임을 밝혔다.

* SBS가 의뢰하고 넥스트리서치가 조사했다. 2023년 2월 6일부터 7일까지 2일간 조사를 실시했고,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사방법은 전화조사원 인터뷰로 유선전화면접 12% 및 무선전화면접 88%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더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여론조사결과 현황 게시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