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동 1차관 “아직 접점 찾으려고 노력하는 중”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판결 해법을 마련하기 위한 한일 고위급협의가 13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렸지만 양국간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일 외교차관협의를 위해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이날 특파원들을 만나 ‘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해 접점을 찾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아직 접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중”이라고 답했다.

조 차관과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 간 한일 양자협의가 당초 예상보다 길어져서 2시간 30분가량 진행된 것과 관련해서도 조 차관은 “결론에 이르지 못했으므로 우리가 협의를 더 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조 차관은 12일 워싱턴DC 덜레스 공항에 도착해서 취재진과 만났을 때 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해 “(한일 간) 의견을 좁힌 부분도 있고 아직 그렇지 못한 부분이 있다”라고 말한 바 있다. 따라서 이번 한일차관협의에서 논의에 진전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 참석 차 방일한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이 25일 오후 도쿄에서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사무차관과 한일 외교차관회담을 갖고 있다. 2022.10.25./사진=외교부

‘우리측 재단 기금에 일본측 전범기업의 참여 여부가 쟁점이었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조 차관은 “특정 사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면서 “일본도 현 상황에 대해 민감해하고 있고, 특히 우리 언론보도에 대해 민감하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일 간 징용 해법 마련 논의는 이번 주말로 예정된 뭔헨안보회의 계기 한일외교장관회담에서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조 차관은 “뮌헨에서 한일 외교장관이 만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다음 (차관) 일정은 (장관회담을) 보고 결정해야 한는 상황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조 차관은 이번에 모리 차관에게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처리수) 방출과 관련한 국내 우려도 전달했다. 그는 “우리 국내의 우려, 또 우리가 제시하는 여러가지 과학적인 문제점을 다 지적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본이 더 노력해달라고 얘기했다”면서 “일본 측도 한국뿐 아니라 국제적인 우려를 감안해서 (그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아울러 ‘중국의 정찰풍선과 관련해 미국이 한미일 3국의 공동 대응을 요구했는지’ 질문에 조 차관은 “공동된 대응은 아니다”라며 “기본적으로 미국과 중국 관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고, 다만 영토주권을 침해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국제법에 따라서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우리의 공식적인 입장”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